누가 민주주의를 훔쳐 갔을까? - 현대사와 함께 읽는 진짜 정치 이야기 사회 시간에 세상 읽기 1
김은식 지음, 소복이 그림 / 이상미디어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책을 덮고 나도 모르게 “좋은 책이다.”라고 혼잣말을 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의 근현대사에 대해 쉽게 설명해 주고 역사에 생생히 묻어있는 민주주의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려 주었다. 하지만 오로지 의미 전달로만 묻히기엔 더 뜨거운 뭔가가 있었다. 너무나 쉽게 들어왔던 현재 내가 누리고 있는 이 자유가 누군가의 피로 이뤄진 사실이라는 말을 오롯이 실감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알고 있었지만 정확하게 몰랐던, 내 생활에 급급해 잊고 있었던 역사에 대한 미안함도 쉴 새 없이 묻어 나왔다.


민주주의의 가치와 소중함을 정확히 모른다는 것은 ‘민주주의가 없는 상태’가 왜 문제인지도 잘 모른다는 얘기가 되기 때문이야. 그러다 보면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문제를 만났을 때 그것과 맞서 민주주의를 지켜야 하는 이유나 방법도 잘 모르게 될 수 있겠지 11쪽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민주주의의 개념에 대해 정확히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모든 구성원을 주인으로 인정하고 그 각각의 생각과 결정을 존중하는 것이 민주주의 이념이라면, 그 이념을 현실에서 구현하는 것은 대화와 토론과 설득과 타협을 하는 것이고, 그것이 민주주의 과정이’라는 말을 제대로 인지하니 ‘날치기’와 ‘다수결’의 폐해를 정확히 알게 되었다. 그렇게 의미를 알아가자 근현대사의 민낯이 보였고, 구성원을 인정하기는커녕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민주주의를 억압한 지도자들의 만행에 분노가 일었다.

제주 4.3사건부터 이승만 대통령의 세 가지 만행(친일파 청산 좌절, 한국전쟁으로부터 국민들을 보호하지 못함, 권력 유지를 위해 온갖 부정하고 폭력적인 방법 동원)이 이후 역사에 끼친 영향을 보면서 할 말을 잃었다. 박정희라는 사람이 일본군 장교로 해방이 되던 해에 중위를 달고 있었으므로 ‘만약 제대로 친일파에 대한 처단과 문책이 이루어졌다면 더 이상 군인으로서 그렇게 승승장구할 수 없었을 사람이라’는 사실이 안타깝고 또 안타까웠다. 친일파 청산은 현재까지 이뤄지지 않았고, 오히려 독립운동을 한 사람들보다 호위호식하며 살고 있는 그들을 보면 모든 게 불합리하게 느껴진다.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을 무너뜨린 사람들은 ‘민주주의는 스스로 지켜가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하지만 불과 1년 뒤 쿠데타로 박정희 정권이 등장해 4·19 혁명이 무색할 정도로 18년 동안 민주주의와 먼 독제체제의 시간을 보내게 된다. 누군가는 그렇게 말한다. 18년 동안 권력을 쥔 것은 잘못이지만 덕분에 잘 살게 되지 않았냐고. 그때 죽어간 수많은 사람들 앞에서도 그렇게 말할 수 있을까? 경제적 발전이 늦더라도 4·19 혁명으로 이뤄낸 민주주의를 잘 지켜냈다면 많은 사람들이 덜 고통 받으며 함께 갈 수 있었다는 이런 생각이 어려운 것일까? 그렇게 잘못된 지도자로 늦춰진 민주주의의 발전을 이룬 것은 ‘평범한 대학생, 고등학생, 그리고 시민들’이었다.

1981년생인 나는 어렸을 적, 어렴풋이 텔레비전에서 보았던 전두환이란 사람이 기억난다. 내가 태어나기 약 일 년 전에, 고향에서 1시간 거리의 광주에서 그런 사건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고 얼마나 섬뜩했는지 모른다. 여전히 잘못을 인정하고 있지 않고, 5·18 민주화 운동으로 희생된 사람들보다 역시나 더 잘 살고 있다. 이런 역사의 편협함을 보면서 분노가 치미는데도 내가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이, 그런 역사를 정면으로 맞을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의 심정을 아는 것도 두려워 답답하기만 하다. 이후 1987년 6월 민주 항쟁은 ‘30여 년 이상 이어지던 군사 정부 시대가 끝나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므로 현재 내가 누리는 민주주주의 대가를 치러준 수많은 분들에게 나는 그저 빚쟁이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민주주의는 뜻이 맞는 사람들끼리 어울려 사는 것이 아니라 생각이 다른 사람들과도 조화를 이루고 어울려 사는 방식’이라는 말을 이제야 조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당장 내 가족과도 대화를 하다 틀어지고 마음이 상하기 일쑤인데, 생각이 다른 모든 구성원과 이뤄나가는 게 민주주의라고 한다면 막막하게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나의 권리를 주장하려면 권리를 잘 실천해야 한다. 선거에 참여하는 것, 내가 뽑은 지도자가 어떻게 하는지 관심을 기울이는 것, 하다못해 국경일에 태극기를 달고 내가 이해한 민주주의 의미를 생활 속에 녹여내는 것도 민주주의를 지켜내는 일이라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