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꽃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속칭 애니깽의 이야기 인 줄 알았다. (에네켄이란 식물의 농장에서 노예처럼 일했기 때문에 조선인들 사이에서는 자신들을 여러가지 호칭으로 불렀다. 에네켄이라는 말과 비슷해서 이 말이 가장 널리 불리워진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1905년 제물포에서 멕시코로 채무노예로 팔려간 1033인의 조선인들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그러나 읽다보면 단순한 이들의 이야기가 아닌(이들의 이야기는 단순하다 말할 수 없지만..) 역사소설이라 말할 수 있는 작가의 노력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역사소설이라 함은. 주인공의 시점에서 주변의 역사가 이루어지는 거서럼 보이기 일쑤인데... 이 소설은 마치 물이 흐르듯이... 멕시코에 이주한 이들의 조선인이.. 역사속의 한 부분처럼 절제되어 잇는 작가의 의도가 봉니다..
그래서 한토막의 시절을 고스란히 본듯한 느낌이다.
조선인들이 멕시코에 도착하면서부터... 이들은 여전히 조선인이지만.. 멕시코인도 아닌.. 조선인도 아닌.. 그렇다고 일본인도 아닌.. 그저 노예일 뿐이다...
그러나 멕시코의 중심으로 이야기는 이어진다...이들은 멕시코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 시대의 멕시코의 정치적인 이야기들을 많이 들려주는 부분에서는 역사소설이라는 확신과.. 그 역사속에 국가의 의미를 제대로 가지지 못한.. 그 안에서 곁도는 조선인들을 볼 수 있다. 국가와 민족을 위해 노력하는 소수의 사람들의 대립을 뼈저리게 느껴 보았다..
한국을 떠나고 싶다라고 쉴새없이 말하고 떠나는 이도 많지만.. 그래도 나는 한국인이다... 내가 어디서 불법체류를 하건.. 죄를 짓건간에.. 한국에서는 내가 한국이라는 이유로 나를 벌하러 올 것이기 때문이다..
어찌되었건 나는 한국인이다.. 그들이 도움받지 못한... 대한민국의 국민이다...
그들이 진정으로 원했던 것은 무엇이였을까...
무너져가는 나라에 희망을 걸지 못한채... 주린 배를 채워 보겠다고.. 4년만 고생하면 많은 돈을 모아 조선으로 돌아와 배불리 먹겠다는 생각으로 멕시코로 떠났지만.. 그들이 맞이한 현실은 가혹했다..자신들이 선택한 길이였지만... 배불리 먹지도 못하고... 돈도 못 모으고 조선으로 돌아가지도 못하고.. 그들은 도대체 어떤 희망을 품고 살아간 것일까...
그들이 선택한 길이였지만.. 그들은 조선을 그리워 했고... 자기들이 태어난 국가에서 자기들을 구제해주러 오기를... 아니면 돌아가지 못하더라도...자신들처럼 설움받는 사람이 생겨나지 않는 국가와 국민을 지켜줄 수 있는 나라를 바랬을 것이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그들은 그리움이 가장 컸을 것이다...
자신들을 지켜주지 못한 나라였찌만.. 그 곳에서 죽음을 맞이하고..
묻히고 싶었을 것이다..
그게 그들을 버티게 해주는 희망이였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