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앤 아버스 - 금지된 세계에 매혹된 사진가
퍼트리샤 보스워스 지음, 김현경 옮김 / 세미콜론 / 2007년 2월
평점 :
절판


무언가에 자신 있는 것보단 자신 없는게 대부분이지만 관심이 있으면서도 특히나 자신이 없는 것들이 존재하기 마련인데 사진도 그 가운데 하나다.

내가 본것들을 조금 더 진솔하게 담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바래보지만 여전히 '사진'이라는 것은 나를 주눅들게 만든다.

그랬기에 사진작가였던 다이앤 아버스를 통해 사진에 대한 기술적인 면이나 지식을 탐구할거라 생각한 것은 아니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그녀의 열정을 볼 수 있을거라 기대했고 사진에 대한 대리만족이라도 하길 바랐다. 그러나 나의 예상은 터무니없게 빗나가 버렸다.

사진에 대한 대리만족도, 그녀의 열정적인 삶의 모습도 없이 나는 그녀를 바라보는 것 만으로도 지쳐 버렸다.

 

분명 다이앤 아버스의 이름을 내건 이 책은 평전의 분위기 일거라 의심치 않았다.

다른 평전을 많이 본 것은 아니지만 다른 사람의 삶을 객관적으로 보기가 얼마나 힘든지 그 노고를 분명 알고 있다.

인물에 대한 자료와 수집, 더욱이 예술가라면 판권 문제등 한 권의 책으로 누군가를 표현한다는 것은 완성 하기까지의 예측할 수 없는 시간을 떠나서 저자의 노고가 살아 숨쉬는 것 또한 인물전에서 빼 놓을 수 없는 묘미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먼저 이 책에서는 저자의 애정이 느껴지지 않는다. 주변인들의 인터뷰 한 노력만 느껴지며 말로 이루어졌다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증언으로 이루어진 책이다.

그러한 증언은 혼란과 중심을 잃어버리도록 만들기에 충분했고 다이앤 아버스를 좇고자 하는 마음에 흥미를 잃어 버리도록 이끌어 가고 있었다. 그녀의 삶의 소소한 것, 그것들을 통하여서 사진작가이기도 하고, 한 사람인 다이앤 아버스를 나타내고자 함을 왜 모르겠느냐마는 다이앤 아버스 그 자체가 중심이 되었다고도 말할 수 없는 책이였다.

 

그녀가 태어나기 전 부모님의 이야기부터 시작해서 그녀가 자살하기 까지의 구성을 취하고 있지만 그 구성 또한 따분했고 불필요한 잡다한 수 많은 것들이 읽기를 방해하고 있었다.

차라리 네메로브 가家 이야기나 다이앤 아버스와 그 주변 이야기라고 했더라면 이해했을 법한 내용들이였다. 저자의 인터뷰의 노고는 느껴지지만 정작 다이앤 아버스는 느껴지지 않는 곁길로 빠지고 있다는 느낌이였다.

그 곁길은 다른 시각일 수도 있다. 그녀의 명성이나 작품 중심이 아니라 그녀의 삶을 통째로 보여 주고 싶은 커다란 포부일 수도 있었다. 그러나 정작 그녀의 작품속 세계는 모호하기만 했고 정신착란을 일으킬 정도의 몽롱함과 우울 속으로 빠지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그래서 오히려 그녀가 그렇게 버티어 준 것만으로도 고마울 지경이였다.

프로이트가 제시한 개념인 '다형도착자(여러가지 일그러진 행동이나 욕망을 말한다. p 277)'의 요소를 다분히 가지고 있는 그녀와 그녀가 나타내고자 했던 세계의 사람들과 모습은 지치게 만들 뿐이였다.

솔직하게 그녀를 말해가되 그녀이기에 그 모든것이 가능하다는 느낌도 지울 수가 없었다.

사람들이 거부감을 느끼는 일명 '금지된 세계'의 사람들과 이야기를 하며 그 사람들의 존재를드러내주고 그것들로 인한 비난도 감수하며(많이 우울해하긴 했지만)그들과의 연결을 끊지 않은 것은 그녀가 아니면 할 수 없었다는 것 또한 안다.

그러나 섹스에 대한 욕망 속에서 자신만의 기준이 보통 살마과 다르다는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어다. 섹스 뿐만이 아닌 사진가가 되기 전에도 무작정 슬픈 예술가가 되기를 갈망한 모습에서 볼 수 있듯이 그녀는 삶에서 무언가를 뚜렷이 드러내는 것이 없었다.

그것이 예술가들에겐 틀이 될 수도 있고 그 틀에 억매이지 않기에 평생을 두고 예술이라 일컬어지는 일들을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그녀의 모호함과 우울은 전염성이 강했다.

 

그 가운데 나는 길을 잃어 버렸다. 그녀의 작품을 한 컷도 볼 수 없는 상황에서(자료를 찾아 보면 되겠지만 한 컷도 없다는 사실은 불신만을 심어 주었다.) 그녀의 세계로 들어가기를 거부하고 있었다.

그녀와 동행하지 못한 것이 아쉽고 나의 닫힌 마음이 불쾌하기도 하다.

내가 틀에 박힌 사람이라고 해도 어쩔 수가 없다.

그녀는 내가 다가 설 수 없는 세계에 존재했다.

단지, 사진을 찍으면서도 자유롭지 못할 때가 많았던 그녀의 마음이 애잔하게 다가올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