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대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9
윌리엄 골딩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이라는건 당사자는 물론이고 상대방도 지나칠 수 없게 하는 무언가가 있다.. 그게 노벨문학상이라면 그 끌림과 질투와 호기심을 무시하지 못할 것이다...
100권이 넘는 세계문학전집(민음사 출판사의...) 중에서 이 책을 택한건 순전히 노벨문학상을 받았다는 그 경력때문이였다.. 그래서 그 모든것들이 말끔히 깨지기를 바라면서 읽었다...

다 읽고 나서 책을 샀을때의 이런 마음가짐을 되돌아보니 크게 아쉬움이 남는건 없지만 한가지 아쉬움이 남는게 있다면 그의 문체였다...
번역의 문제인지 저자의 원래 문체인지는 모르겠지만 충분히 흥미롭게 다룰수 있는 소재(모험소설이라고도르 하니까...) 였음에도 대화라든가.. 사건의 흐름들이 약간은 지루하고 애매모호했던게 사실이다.. 지루하다는 생각을 품고 대충 대충 읽었을지도 모를 나의 실수도 있었겠으나 문체가 조금더 매끄럽고 덜 딱딱했으면 더 낫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그러나 책의 내용은 아쉬움이 남지 않는다.. 비행기의 불시착으로 5세에서 12세 정도의 남자 어린이들이 무인도에 남게 되면서 일어나는 사건들.. 그리고 변화의 보습들을 보여주는데 위에서 모험소설인데 흥미롭게 다루지 않았음의 투덜거림을 적극적으로 밀고 나가지 못한 것이 그들의 생활, 의식의 발전 그리고 사회적 결함이 결코 흥미롭지만은 않았기 때문이다.. 무인도에 어른은 하나도 없고 자신들이 직접 통제하고 꾸려나가야 한다는 현실 앞에 대장도 뽑고.. 구조를 위한 봉화도 올리고.. 발언권을 가질 수 있는 소라의 중요성도 인식하지만.. 서서히 무인도에 적응해 감으로써의 그들의 모습은 달라진다.. 공정하게 대장으선출된 랠프와 그의 경쟁가 잭과의 분열에서 서서히 변화를 야기시키면서 현대의 어른들의 삶과 크게 다를바 없는 영역의 구축이 씁쓸했다.. 그나마 이성을 가진 랠프가 이끌어 가려 했지만 권력, 폭력, 사냥에 맛을 들여가는 잭과의 맞대결은 피할수가 없었다..
거긴 무인도였고.. 중심은 개개인이였고.. 그런 중심의 다툼은 분열이기 때문이다.. 우월함과 쟁취의 만족감 안에서의 동료의 살인도 죄책감을 느끼지 못할만큼 잭 일행은 포악해져 갔고.. 이성으로만 판단하고 제어는 잘 되지 않는 랠프의 머뭇거림은 잘못된 부분에서의 양심적 결함이 그들에게 흡수되어 갔다..
서서히 무인도가 아닌 의식체계로 갈라지는 영역다툼의 장소가 되어간 것이다.. 그 다툼안에 살육도 마다하지 않는 그들의 변화에 현재의 사회와 그런 사회성 결여의 묻어나옴에 당연한 것 같으면서도 놀라웠다..

랠프의 목숨이 위태로워진 순간에 해군장교에 의해서 그들은 구조가 되지만 처음처럼 그들이 천진난만한 아이들로 돌아가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을 낳기도 전에 한배에 탈 그들의 운명이 섬뜩해지기도 했다..
남자아이들로 이루어진 세게라 권력,폭력,우월주의가 솟아났을지도 모르겠으나 그런 작은 집단에서의 갈라짐으로 보건대 세계의 갈라짐과 다툼은 피할수 없는 건가 라는 씁쓸함이 밀려왔다...
상황의 적응력에 대한 어쩔 수 없음이라해도 집단안에서의 의식변화는(더군다나 아이들이였음에도...)당연함으로 채우기에는 무언가가 많이 부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