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테의 모자이크 살인
줄리오 레오니 지음, 이현경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단테의 빛의 살인'에 덤으로 온 책이다. 시리즈라고 하길래 모자이크 살인을 먼저 읽고 빛의 살인을 읽으려고 했는데 모자이크 살인을 읽다 빛의 살인은 점점 더 늦어지고 말았다.
내가 책을 좋아하면서부터 장르의 벽을 없애고 편견을 깨면서 다양한 장르를 접하게 되면서 장르의 편견을 깨어가면 깨어갔지 담을 쌓아 버리는 장르는 드물었는데 역사 추리소설은 정말 나의 스타일이 아니라는 것을 이 책을 읽고 깨달았다. 이 책을 읽기 전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 상권을 읽었는데 잡다한 박식을 요구하다는데다 사건의 흐름보다 자신들의 의견을 피력하고 사상을 논쟁하는게 더 중점인 것 같아 적응도 안되었고 읽는데 힘이 들었다. 그렇게 장미의 이름처럼 역사 추리..
그것도 종교와 얽혀있는 고대의 이야기는 정말 내 취향이 아니다라며 고개를 절레 절레 흔들었는데 '단테의 모자이크 살인'을 만나고 나서는 내가 적응 못하는 장르 등장이라는 확신이 서버렸다. 꼭 이렇게 장르에 경계를 지을 필요는 없지만 읽는데 조금은 힘이 들었기에 인정할건 인정하려 한다.
자 그럼 나를 힘들게 했던 역사 추리 소설 '단테의 모자이크 살인'속으로 들어가 볼가?
시대는 1300년.. '신곡'의 저자로 유명한 단테는 행정위원으로 선출되어 건축 조합의 마에스트로 암브로지오의 의문의 살해를 추적해간다. 사건을 추적해가는 단테의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시인으로서의 단테의위대한 모습을 보는 것이 아니라 다혈질에 신경질적이고 거친 성격의 단테를 볼 수 있는데 보는 내내 짜증스러울 정도였다.
단테를 추리소설 주인공으로의 모습에서 비롯된 것일수도 있겟구나 라는 생각을 해보았는데 저자는 인터뷰에서 단테의 모습에는 실제적으로 그런 모습도 있다고 해서 놀라웠다.환상속의 것들을 깨어주는 한 단상이 되고 있었다. 여튼 그 살인사건을 해결해 가면서 피렌체 스투디움의 지식인들이며 교황청의 하수인들까지 상대해 가는 단테의 모습은 흥미진진하다거나 영리하다라는 생각은 그닥 들지 않았다.
그런 위치의 단테였고 그런 분위기의 사건이였지만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추리물만을 읽어서인지 지식의 논쟁과 나열은 왠지 몸을 비비 꼬이게 만들었다.
도무지 범인이 예측이 되지 않았고 범인이 밝혀지고 배경이 드러나도 크게 놀라지 않았다. 결과 보다는 과정이 더 긴 책이라 그 과정을 충분히 맛보았기 때문에 결과는 그닥 큰 여향을 주지 못한 것 같았다.
그러나 시대적 배경이 되는 1300년이라는 까마득한 과거가 마치 내 눈 앞에서 펼쳐지듯 생생한 묘사와 인물들의 성격 및 특징은 그 시대로의 여행속으로 이끌기에 충분했다.
소설속의 거추장스러워 보이는 복장들.. 더운 날씨.. 악취.. 짜증등 어느새 단테의 신경질적인 모습을 닮아 나도 까탈스럽게 읽었는지도 모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