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역 옥루몽 1 - 대한민국 대표 고전소설
남영로 지음, 김풍기 옮김 / 그린비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고전은 '시간과 공간을 넘어 읽는 이의 영혼을 울리는 것' 이라고 한다.

그런 연유에 부쩍 고전이 좋아진 요즘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고 읽게 되었다.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특히 좋아하는 나로써 그런 문학을 즐길 수 있다는 것에 대해 무척 뿌듯해하고 있었다. 처음엔 그렇게 고전을 즐기고만 있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외국의 고전은 이렇게 많고 다양한데 우리가 알고 있는 고전은 무엇이고 즐기는 고전은 무엇이라 말할 수 있단 말인가.. 안타까웠다.

우리의 고전을 나열해 보려해도 선뜻 선뜻 나오지가 않았고 어느시대 무엇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또 제대로 읽은 적이 있는지 어느 것 하나 뚜렷하지 않았다.

그러고 보니 우리의 고전은 알지 못한채 외국의 고전을 탐독하고 있는 내가 조금은 씁쓸해져 갔다. 그러던 중 옥루몽이라는 제목만 들어본 적이 있는 고전이 완역이 되어 발행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이런 씁쓸함을 조금은 날려 주는 것 같아 반가웠다. 우리에게도 훌륭한 고전이 있다고 자랑하고 만끽하고 싶은 마음이 그득했다.

 

고전의 첫 어려움이라 하면 아무래도 언어가 아닌가 싶다.

내가 알지 못하는 어휘와 지금과는 확연히 다른 언어에서 그런 말의 어려움은 더 커져가는 것이다. 그러나 저번달에 홍석중의 '황진이'를 읽어서인지 꼼꼼히 정리된 주석과 함께 읽기에는 별 어려움이 없었다. 그 안에는 재미가 가미되었기 때문에 훨씬 수월했던 면도 있었다.

그리고 반가웠던건 현대인이 쓴 고전이 아닌 말 그대로의 고전이기에 생소한 언어속에서 그 시대의 언어가 배어나와 고전을 읽는 즐거움을 더해 주었다는 것이다. 현대의 고전이 아닌 고전속의 고전...

말장난 같지만 그렇게 옥루몽의 매력에 빠져갔다.

 

옥루몽에서 주요 인물은 양창곡이다. 양창곡과 맺어진 인연이든 아니든 많은 인물이 나타나지만 양창곡이 중심이 되어 점점 스케일이 커져간다. 범상치 않은 양창곡의 출생.. 뛰어난 재능.. 그리고 장원급제하여 펼쳐지는 활약상이 그려져 있다. 1권에서는 그의 활약상이 전부 드러나지 않고 시작에 불과해 다음 이야기가 몹시 궁금해졌다.

그러나 1권에서 양창곡이 주요인물이긴 하지만 그에 못지 않은 앞으로 스토리를 이끌어 갈 인물들도 등장한다. 양창곡 같은 인재에게는 많은 인연이 따르는 법...

처음 마음을 열고 사랑을 나눈 강남홍을 두고라도 1권에서 세명의 부인을 맞이하게 된다. 앞으로 한명의 여인을 부인으로 더 맞을테고 강남홍과의 재회를 앞두고 있으니 옛날에는 자연스럽고 당연했던 풍속이였으나 고전에 대한 어쩔 수 없음이 드러나 질투가 나기도 했고 괜히 실망스럽다는 둥 그러면 그렇지 라는 둥 ... 그쪽에 관한 양창곡의 면모에 대해서 투덜대고 있었다. 진한 로멘스라도 바라는 것이였을까? 왜 나는 앞길을 보지 못하고 여기서 머뭇거리는지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자기의 의지와는 다르게 부인으로 맞은 황소저를 보며 여러 부인들 사이에서 꼭 이런 사람은 한명쯤 있다는 생각에 양창곡과 다른 부인들과의 어려움이 훤히 그려져 이 문제는 이만 여기서 접기로 했다.

이것 말고도 조금씩 조금씩 고전이라는 매력에 빠져가는 것이 많았으므로..

그 매력중에 단연 돋보였던건 시조가 아닌가 싶다.

강남홍과 벽성선이 기생이라는 신분도 있었지만 양창곡과의 정을 나눔에 있어 시로 마음을 주고 받는 것에 대해 고전의 매력을 느낄 수 있었다. 지식과 배움의 산물이며 가장 보편화된 드러남이 시조이듯 범위가 너무 한정되어 있다는 느낌도 들었지만 그 시대 상의 특징을 따라 즐기다 보니 외국의 명시에도 견줌에 손색이 없을 것 같았다.

다만 주고 받는 시가 대부분이라 배경을 알고 읽으며 마음에 더 와닿듯 따로 떼어 놓으면 다소 동떨어진 느낌이 들더라도 말이다.

 

또한 현명함과 인과 덕을 중시하는 면모에서 편안함을 느꼈다.

책 속의 많은 것들을 알고 있는 것의 대부분이라 고리타분하게 생각되어질지 몰라도 우리는 그런 면에 익숙함으로 시나브로 그 안에서 편안함을 느끼는지도 모르겠다. 그런면을 1권의 끝부분에 나오는 양창곡과 나탁과의 싸움에서 볼 수 있듯이 전쟁에 대해서 아는 것도 없고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지만 역시나 흥미진진했고 순식간에 읽어내려갔다.

그 부분이 아니더라도 그런 면모는 책 전체에서 자주 볼수 있었기에 그 시개속의 빠짐이 짙어져갔다.

 

책을 읽어나가면서 처음 기대 했던 우리의 고전에 대한 기대가 무너지기도 했었다. 다소 익숙한 스토리며 순수한 우리 고전이 아닌 중국이 무대가 되었고 많은 현인들이나 가르침이 다 중국에서 비롯된 것이였다. 그 당시 중국이 우리에게 미친 영향을 보면 당연한 결과였겠으나 왠지 우리나라만의 순수한(?) 고전을 바란터라 터무니없는 기대를 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내가 확실하게 느꼈던건 개인적으로 좋아하던 19세기 러시아문학을 읽으면서 느꼈던 즐거움과 만족감이 옥루몽에서도 드러났다는 것이다. 고전이라는 장르의 틀속에 담으려 했던 나의 편견을 깨어주듯 옥루몽은 그 매력을 안은채 편하게 재미나게 많은 가르침을 담은채 그렇게 다가왔다.

우리의 고전...

옥루몽을 읽는 것 하나만으로 자랑하고 싶고 널리 알리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이제야 우리의 고전이라고 떳떳이 내 놓을 수 있는 또 하나의 작품을 만난 것 같아 문학을 좋아하는 한 사람으로써 한없이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