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지배자
크리스토프 바타이유 지음, 김정란 옮김 / 문학동네 / 1997년 12월
평점 :
품절


크리스토프 바타이유의 처녀작 '다다를 수 없는 나라'가 너무 강렬해 이 작가의 책을 검색해 보았지만 '시간의 지배자'와 '지옥만세'밖에 없었다. 지옥만세를 읽고 또 다른 변신에 감탄사를 던졌는데 우리 나라에 번역된 마지막 책 '시간의 지배자'를 마주하고는 아쉬움이 앞섰다.

한 작가의 여러 작품을 읽는다는건 흔한 것 같으면서도 흔치 않은데 번역된 책이 없어 읽지 못한다는 건 흔치 않음을 떠나 안타까움이 앞선다.

그래서 진즉 사놓고도 읽기가 아쉬워 오랫동안 읽지 않았는데 단 하루만에 다 읽어 버렸다.

 

밤마다 218개의 시계를 찾아 다니면서 시계를 고치는 시계공.. 그 환상의 공간속에서의 시계공과 그 주변의 이야기는 저자의 독특한 상상력을 이번에도 여실히 보여 주었다.

전작에서 보여 주었던 언어의 마술, 절제, 그리고 글쓰기가 철저히 계산적이라다라는 옮긴이의 말을 굳이 빌지 않더라고 이 모든 것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시계공이라는 의미보다 제목처럼 시간의 지배자, 시간의 달인이라는 의미가 더 가까운 이들은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단순히 시간을 맞춘다라는 의미만으로 결정 지을 수 없을 것이다.

직업의 특성상 밤에 일하는 이들은(제르당->주제페->아르투로 옮겨간다) 밤의 지배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왕궁을 누비며 시계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찾아가고 하루에 한번 꼬박 꼬박 해야 하는 일은 지치고 의미없어 보이면서도 왕궁에 작은 생기를 불어 넣어 주는 것이다. 특히 아르투로와 공작의 이런 밤의 나들이는 그들이 정말 시간을 찾으려고 하는 진지한 행위로 보였다. 아르투로는 자기의 일을 성실하게 했고 공작과의 밤 나들이에서 충분히 많은 교감을 나누었음에도 후일 태어난 아루투로의 딸 로도이프스까를 범하고 삶의 종지부를 찍어준 일은 공작 다우면서도 끔찍했다.

아르투로의 결혼이 그에게 밤 나들이의 흥분과 묘한 감정을 뺏앗아 갔지만 진정 그렇게 쉽게 공작과 우리들은 로도이프스까를 잊어 버릴 수 있단 말인가..

아르투로는 그렇게 고치던 시간과 삶을 잃어버렸다.

공작에게는 원래 시간과 삶이라는 것이 무의미하고 진부할 뿐이였지만 아르투로는 소중했다. 공작이 쉽게 놓아버리는 것들이...

딸의 죽음 이후 성으로 돌아오지 않았던 아르투로를 두고 부인 헬렌은 몇년 후 사내아이를 낳는다. 헬렌은 성에 잘 적응했고 어울리는 인물이였다. 세탁을 하는 그녀의 직업에서 아르투로를 만나 묘한 신분상승을 통해그녀는 그렇게 성에 흡수되어 버린다. 마치 고쳐지지 않는 시계처럼 당연한 듯이...

 

저자는 이 모든 이야기에 분명 철저한 냉정과 여백을 두고 있음에도 그 여백은 전작처럼 그렇게 백지가 아니다. 끊임없이 머릿속에 그려지는 상상과 감정들의 멈춤을 형식을 빌어 마치 없는 것처럼 보일뿐 그의 여백 가운데는 끊임없이 생각과 느낌들이 솟아난다.

환상의 세계를 말하고는 있지마 상처는 생생이 느껴지는 일관성이, 더 깊은 블랙홀 속으로 빠져들게 하는지도 모르겠다.

21살엔 '이방인'이후의 최대의 처녀작으라 불리우던 '다다를 수 없는 나라'를 쓰고 25살엔 이 작품을 썼다. 그러나 이런 결과가 결코 쉽게 이루어진 것은 아닐 것이다. 천재는 만들어 진다라는 말처럼.. 저자도 자신을 하루 하루 만들어가 이런 작품을 쓰지 않았나 싶다.

그렇기에 더더욱 다른 작품을 읽어보고 싶은 욕구가 강하다.

다음 작품을 기대할 수 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