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신 치바 ㅣ 이사카 코타로 사신 시리즈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소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조사시간은 일주일....
왠지 '조사하면 다 나와'란 유행어가 떠올랐지만 실체를 들여다 보니 그닥 나올것이 없는 조사 같았다. 치바가 나의 죽음을 준비한다면 서슴없이가(可)라고 말할 것 같다. 삶을 충실하게 그리고 보람되게 살고 있지 않다는 자신감 상실이다. 책을 다 읽고 나니 비가 온다. 치바가 온걸까?
누굴 조사하고 있는 것일까..
사신.. 말 그대로 죽음의 신이다.
삶에 대한 희망과 열정이 없으면 아니 치바가 봤을때 굳이 살 이유가 없으면 '가'를 보고한다. 그러면 일주일째 되는날 조사 대상은 죽는다.
6명의 인간 중에서 삶에 의욕이 없고 늘 죽고 싶다라고 입버릇 처럼 말하며 '가'로 보고하기에 손색이 없는 가즈에만 '보류'를 한다. 그녀는 죽고 싶어 했지만 그녀를 괴롭히는 사람의 진짜 의도는 그녀의 목소리에 반해 가수로 만드려는 뜻이 숨어 있었기 때문이다.
6편의 이야기 중에서 죽음을 보여주는 것도 있었고 죽음을 확실히 말해 주지 않는 것 그리고 죽음이 참 쉬운 것도 있었다. 인간이 아닌 사신이기에 그런 면모를 보여 주었겠지만 그런 냉철함이 오히려 소설의 매력을 더해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치바 앞에서만큼은 생명이 하잘것 없어 보일 정도로 치바는 첫 제목처럼 '정확했다' 가끔 그런 인간들 앞에서 연민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죽음을 보류시킬 정도는 아니다. 오히려 정이 넘치는 다른 사신들에 비해 정이 없다고 느껴질 정도다. 그래.. 그는 인간이 아니니까.... 치바의 세계에서 들여다 본 인간들의 죽음이 연민이 느껴졌을 뿐이지 그런 인간 세계에 살면서 그들의 죽음을 보면서 늘 무덤덤하니까...
오히려 냉철하다고 말하는 치바에게 내가 더 가식적으로 보이는 느낌이다. 죽음은 내가 결정하지 않지만 죽음을 상대하는 태도와 생각은 비슷하니까.. 사연없는 죽음.. 안타까운 죽음이 왜 없겠는가.. 결국 우리는 다 죽을텐데...
이 특별하면서도 단순한 죽음을 이런 모양으로 엮어내는 작가의 상상력이 돋보인다. 단편처럼 느껴지는 이야기속에 직소퍼즐을 맞추듯 딱 들어맞는 복선과 결과는 독특한 상상력에 재미를 덧붙여 주었다. 가즈에를 보류를 했지만 정말 그녀가 가수가 되었는지 알지 못했는데 또다른 인물과의 연결을 통해 늦게 꽃이 핀 굉장한 가수가 되었다는 이런 꼼꼼한 맞춤은 그래도 살아있을때 행복하다라는 걸 암시해 주는 듯 했다.
설사 치바가 조사를 나오더라도...
치바가 나를 조사하고 있더라도...
하루 하루를 준비하며 살면 내가 느꼈던 허무와 연민은 줄어들지 모른다. 어떤 책에서 그랬다.
늘 죽음을 준비하라고...
그래서 3년전 처음으로 유서를 써 보았는데 이제 다시 수정이 필요할 듯 하다. 죽음이 멀든 가깝든 그 막연함에 두려워하지 말고 자신에게 충실한 하루 하루를 살면 낫지 않을까?
우리는 하루 살이다. 오늘이면 내가 죽고 내일이면 다시 태어난다.
내일 태어나는 나와 어제 죽은 나와의 동일성 같은건 따지지 말고 나는 하루살이라는 생각으로 살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