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철학 스케치 1 - 이야기로 만나는 교양의 세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음 / 풀빛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분명 자신이 좋아하는 장르와 관심 있는 장르의 책 읽기는 많이 다르다.

최근 나의 관심이 되어 가는 장르를 굳이 구분하자면 인문과 철학인 것 같다.

관심 가다보니 그쪽 분야의 책들을 구입해 놓긴 했는데 읽어 보려고 펼치면 글씨들은 겉돈다.

그래서 관심이 있다고 무조건 읽어지는 것은 아니구나를 느끼며 나의 수준에 맞는 독서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책 제목에서 이렇게 '철학'이라고 마치 정답을 알려주듯 적혀 있으면 나의 수준은 생각하지도 않고 홀라당 마음을 뺏겨 버리고 만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스케치'가 붙어서 조금은 쉽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란 기대를 했다.

거기다 한국 철학은 더더욱 문외한이라서 무작정 덤벼 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작년에 읽은 철학 콘서트라는 책에서 퇴계 이황의 사상을 엿보고 우리의 철학도 만만치 않구라 라는 걸 깨달았음에도 철학이라는 난관을 뚫어 보고자 이렇게 애를 쓰려 하고 있었다.

 

그러나 왠걸. 잔뜩 긴장하며 펼친 책은 쉽게 읽혔다. 철학에 대한 나의 편견이 너무 심했던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고 반면 마음을 조금 연 것 같아서 조금씩 책 속으로 빠져들 수 있었다.

그러나 책을 읽어가면 갈수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본론은 언제 나오는 걸까.

책은 부담없이 읽혔고 저자의 의도도 머릿말에서 파악했지만 고조선부터 차근차근 접근해가는 모습도 마음에 들었지만 철학을 논한다기 보다는 국사책을 읽는 느낌이였다.

주르륵 훑어나가는 느낌들 속에서 내가 철학을 너무 거창하게 생각했나라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었다. 철학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지만 중국이나 유럽의 철학들을 보면 무척 어려웠다.

그냥 읽기도 벅찼는데 우리의 철학은 무엇인지 감이 잡히지 않았다.

 

국사책을 읽는다는 느낌은 2권을 읽을 때까지 계속 되었지만 나의 미흡함으로 철학의 난해함을 느낀 건 화담 서경덕의 기氣 철학 정도였다.

성리학의 중심 개념인 가운데 하나인 리理와 기氣가 어우러진 사상의 진보는 갈수록 의문이였고 난해했다. 서경덕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후세의 지식인들에게 전해지고 있었으니 서경덕의 철학을 이해하지 못하면 계속 헷갈릴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내가 우리의 철학에서 크게 착각한 것이 있었다.

무지에서 나오는 생각이겠으나 철학이라고 하면 현세와 떨어져서 깨달음을 얻는 것이라 생각했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국사책을 읽는 느낌에다 띄엄띄엄 철학 같아 보이는 사상이 나온다 생각 했으니 제대로 이해할 리 만무했다.

저자가 서문에서 밝힌 한국 철학의 의의를 금새 잊어 버린 것이다.

우리 민족이 오랜 역사 속에서 자신들이 몸담고 살아온 자연적 조건과 사회적 상황에서의 경험들을 추상화하고 체계화해 낸 것이 한국철학이라고 했는데 나는 이러한 뜻을 무시해 버린 것이다.

그랬으니 이미 우리의 철학을, 그것도 삶 속에 끈적끈적하게 배어있는 의의를 맛 보고도 이것은 철학이 아니다라고 치부해 버린 것이다.

우리의 선인들은 삶 속에서 진리를 찾았고 그것을 점점 많은 사람들 특히 민중들에게 접목시키고자 노력하였는데 나는 그러한 것은 역사적 사건들이라고 생각해 버렸다.

그동안 나는 철학을 너무 어럽게 생각했고(여전히 어렵긴 어렵지만) 실생활과 떨어져 생각했기에 다른 것에서 진리를 찾으려 했던 것이 아닐까.

 

깊이 있게 다루었다면 어려워서 손도 못대었겠지만 스케치란 말이 고맙게 느껴지면서도 아쉬움이 남는 것도 사실이다. 철학을 실생활과 떼어놓고 생각하려 했던 것이 아쉽긴 하지만 지금부터 서서히 해보려 한다.

우리의 선인들이 처음엔 특권 계층에서 정치적, 개인적 성찰로 시작하였던 철학을 진정 나라를 걱정하고 민생을 걱정했던 마음 만큼은 고스란히 전혀져 왔기 때문이다.

그랬기에 고조선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훑어 본 결과 처음엔 미흡하고 탁상공론에 지나지 않아던 것이 점차적으로 현실에 도입되는 것을 보며 그들은 하나의 맥을 타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 맥을 느끼고 있으니 조금이라도 그들이 전하고자 했던 것을 지키고 행동으로 옮겼음 하는 바램이다.

철학은 먼 것이 아니다.

바로 우리의 일상에 늘 잠재해 있는 것이다. 괜히 거창하게 생각하고 있을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