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끝났으니까 끝났다고 하지
그렉 버렌트 지음, 이수연 옮김 / 해냄 / 2005년 10월
평점 :
절판
책에 환장할때 이별책임을 알면서도 책을 받기 위해 열심히 응모를 했다. 30일동안 이별일기를 쓰는 것이였는데 간략하게 정말 꾸준히 썼다. 오로지 책을 받기 위해서...
이별의 감정이 짙지 않을때라 무작정 그리움의 대상으로 쓰기도 했었는데 막상 책을 받고 보고 조금은 부끄러웠다.
이런식으로 책을 받을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마음에 선뜻 손이 가지 않았다. 그러다 얼마전에 안 읽은 책 꽃이에 놓인 책이 보기 싫어 읽기 시작했는데 정말 순식간에 읽었다.
읽으면서 내가 이별의 아픔을 겪었을때 읽었다면 좀 더 깔끔하게 이별을 할 수 있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
내가 이별하면서 저질렀던 모든 행동들을 말리고 있었으니까...
그리고 착각에서 헤어나오게 하고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게 해 주었으니까... 이별이라는 힘든 시련이 닥치면 마음의 갈피를 잡지 못하고 무엇엔가 매달리고 싶기 마련이다. 다른 사람들의 조언에 귀기울이게 되고 수많은 유혹과 가능성을 뿌리치지 못한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단호히 말해준다.
유혹과 가능성을 키우지 말고 현실을 보라고..
그와 당신 사이는 끝.났.다! 고 말이다.
누가 보더라도 끝난 사이이고 처음의 마음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임에도 내게는 너무나 달라진 현실을 인정하지 못한다.
넘쳐나는 시간, 내 곁에 없는 연인, 그리고 모든것이 가능했던 일들이 불가능으로 뒤바뀌는 두려움 등...
상실감과 상처는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그런 와중에 가장 많이 되는 실수가 전화가 아닌가 싶다.
너무 마음이 불안하고 두려워서 모든 고통의 인내를 감수하고 나름대로 계산해서 전화를 하게 되지만 상대방이 느끼기에는 너무 자주다.
그래서 이 책의 처음에 하는 말은 절대 헤어진 연인에게 전화를 하지 말라는 것이다. 전화기 옆에 '상대방은 당신과의 통화를 원치 않는다'라고 써 붙인 후 전화를 할 수 없게 모든 방법을 동원하라고 말한다. 오히려 전화가 걸려오지 않을때 더 많은 메세지를 주고 궁금해하기 때문이란다.
좀더 일찍 이 책을 봤다면..(안타깝게도 내가 이별을 겪은 후 책이 나왔다.) 비참함이 덜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저질렀던 가능성이라 불렀던 것들이 얼마나 어리석었는지 이 책에서는 솔직하게 말해준다.
많은 예들을 보건데 적어도 그런 실연의 아픔은 나 혼자가 아니라는 데에서부터 위안을 얻기 시작한다. 그러나 편안함의 위안이 느껴질 정도의 다정함은 내포하고 있지 않다. 철저하게 현실 직시다...
그게 너무 성의 없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오히려 물러터지고 있는 마음에 그런 단호함이 있어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어 그럭저럭 참고할만 했다.
그러나 이 책이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게 아닌 이상 다른 사람들의 경험담이라든가 상담자의 발언에서 나오는 그네들의 정서에 맞는 사고방식과 유머들은 나와 맞지 않아 거리감을 느끼게 했다.
우리나라였다면 지지리궁상이 되었을 경험과 상담들이 우리나라가 아니였기에 이렇게 책으로 나올 수 있었나 하는 생각도 드는 거리감이였다.
이 책의 주류는 경험담이다.
그 경험담으로 인해 그리고 상담으로 인해 이별의 아픔의 완치는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시간이 흐르고 보니 어느새 나도 그 속에서 빠져 나와 있었고 헤어질때의 나의 행동들이 후회가 많이 될뿐이지 책에서 말하는 것들이 대부분 맞았기 때문이다.
그것들을 시간에 비례하지 않고는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시간이 흐르면 어느정도 해결해 주지만 적어도 후회는 하지 않도록, 덜 비참해 지도록, 현실을 냉정히 바라볼수 있도록, 그리고 자신을 사랑할 수 있도록 인도해 준다.
연인과 헤어졌다면 당당히 돌아서라.
끝났으니 끝났다고 하는 것이다.
그 사람과의 더 이상의 가능성은 없는 것이다.
왜 내가 아직도 그 사람으로 인해 상처 받아야 하는가!
당당히 빠져 나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