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 이야기 - 역사 속에 숨겨진 코드
박영수 지음 / 북로드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응용력도 끈기도 없는 내게 '암호'는 정말 독약과도 같다.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냐고 말할지 몰라도 암호는 대부분 쉽게 풀 수 없다는 관념하에 나와는 다른 세계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라는 걸 알기 때문이다.

그런 신비함이 나를 이끌었는지도 모르겠다. 나는 이 책을 통해 그런 암호의 세계에서 조금은 헤어나올 수 있다 생각했다.

그러나 역시 나의 관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나를 더 혼란의 늪으로 데려갈 뿐 결코 내가 예상한 헤어남은 맛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고대 역사에 약한 나로써는 처음의 내용은 정말 진도가 나가지 않았다.  암호 이야기를 하기 위해 배경이 되는 역사를 차근 차근 짚고 넘어가도 그 역사에서 부터 헤매버렸으니 무엇을 더 기대하겠는가.. 포기해 버리고 싶을 정도로 구미가 당기지 않았다.

소제목 앞의 암호 문제가 독특하고 지루함을 덜어 주었지만 여전히 감을 잡을 수 없었다. 그렇게 몇날 며칠을 책을 펼쳤다 덮었다를 하다 너무 질질 끌고 있는 것 같아서 인내를 선두로 다 읽기를 다짐했다.

책 읽기가 점점 이상해져 간다는 느낌이 짙었으나 어쩔 수 없었다.

중간에서 그렇게 책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 나의 의지를 보아준 것이였을까..

그제서야 조금씩 조금씩 책이 흥미로워지기 시작했다. 암호야 어차피 내가 그 규칙을 깨닫는다고 해도 내겐 분명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걸 알기에 암호의 이해는 제쳐두고 그 암호의 역할을 중점으로 읽었다. 그랬더니 재미있어졌다. 암호이 얽힌 얘기가 그토록 많다는 것, 그리고 그렇게 중요한 역할을 했던 실화를 보면서 황산벌이 생각이 났다. 350여가지의 뜻을 내포하고 있는 '거시기'의 비밀을 풂으로써 암호의 중요성의 예를 봤음에도 난 어렵게만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다 보니 지지부진 했을 기간보다 몇배나 빨리 책을 읽어 버렸다. 조금은 허무 했지만 조금이라도 흥미를 갖고 읽었다는 생각에 뿌듯함이 밀려 올 정도였다.

어쩌면 소제목 앞에 나오던 암호풀이가 정확한 루트를 통해 풀린건 아니였지만 직감으로 몇몇 문제를 맞추다 보니 그 재미에 읽기가 가속도가 붙었는지도 모르겠다.

무조건 어렵게만 느꼈던 암호추리, 그리고 암호 이야기에 조금은 가깝게 다가간 것 같아 끝까지 읽은 보람이 있었다.

'당신의 가방, 지갑 속에 '암호'가 숨어 있다;라는 문구의 내용은 빈약하고 자세히 나오지 않아서 조금은 실망하고 아쉬웠지만 그럭 저럭 다른 세계로의 여행을 잘 마친 것 같아 후련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