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죽음 - 전2권
김진명 지음 / 대산출판사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랜만에 만나보는 김진명의 소설이였다.

늘 지난 작품을 읽어서인지 읽는 내내 시류를 제대로 만나지 못하고 있다는 이질감이 느껴졌는데 발간된지 조금 지나긴 했지만 비교적 신간이라서 그런지 시류를 제대로 타고 있었다.

그러나 내가 문외한인 정치,역사 그리고 복잡미묘한 국제 문제들이라 뚜렷한 주관을 내세울 수는 없었다.

아는것이 있어야 풀어놓을 재간이 있고 의견을 피력할 수 있을 터인데 무엇하나 뚜렷이 말할 수 있는게 없었다.

 

김일성의 죽음을 둘러싼 동북공정의 진행적인 음모....

현무첩을 통해 고구려 역사를 파헤치고 그 역사를 지키려는 측과 부정하려는 측의 갈등은 여전히 뜨겁게 씌여져 있었다.

현무첩의 의미를 풀어내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알았음에도 또한 그것이 주류였음에도 무언가를 시원히 뒤집어줄 것 같았으나 끝은 허무했다. 동북공정의 음모처럼 뒤집기는 여전해 현재진행형인 걸까..

김정일의 욕과 뒤섞인 거친 발언에 지금껏 이끌어온 소설의 진행이 무너져 버렸다. 그렇게 끝낼 것이라면 좀 더 일찍 민서가 김정일에게 전화를 걸어 희생을 막을 것이지 그리고 그런 음모를 진즉 꺽을 것이지 허무하고 허탈했다.

또한 3명만 알면 우리나라 사람을 어찌 어찌 다 알게 된다는 말처럼 민서는 충실했다.

지미 카터를 비롯해 김정일, 중국의 거물들까지 민서는 손만 뻗으면 만날 수 있었다. 민서 같은 역할 자가 있어야 소설이 흘러가겠지만 자연스럽고 매끄러움이 부족했던건 사실이다.

분명 읽는 동안 푹 빠져서 정신을 못 차릴 정도로 순식간에 읽었음에도 아쉬운 부분이 많이 보였다. 푹 빠지면 헛점이 많이 보이지 않는 법인데 아이러니 했다. 읽기와 즐거움은 따로 따로인 듯 그렇게 흘러간 소설이였다.

그러나 결코 호락 호락하지 않는 숙제 꺼리를 만들어 놓고 갔다. 나 혼자서 풀 수 없는 그리고 결코 나 혼자서 해결할 수 없는 숙제들 말이다.

남과 북 그리고 미국을 떠나서 중국과 일본과의 정치적 지리적 관계... 이모든 것들을 어떻게 우호적으로 풀 수 있단 말인가...

분명 남과 북은 한민족이라 이렇게 갈라져 있음에도 끈끈한 무엇인가가 응집되어 있어 북한이 어려움을 당했을때 당연 우리에게 손을 뻗을 줄 알았는데 중국에게 먼저 손을 뻗칠거라는 가정은 충격이였다. 이미 그렇게 드러나 있어 가정이 아님에도 그리고 우리와는 단절 되었어도 중국과는 늘 교류를 해왔다는 사실을 앎에도 인정하기 싫었다.

그렇기에 중국의 북한 흡수라는 가설을 이끌어 낼 수 있었겠지만 그렇게 되지 말아야 한다며 광개토대왕을 그 시대를 상기 시키려 하지만 그 앞에 우리는 너무 초라하다. 그리고 너무 나약하다.

 

충동적인 애국심은 이제 솟아 오르지 않지만 이런 씁쓸함의 여운은 오래간다. 소설이라는 허울을 다 잊더라도 남게 되는 진실 앞에서 나는 어쩔 수 없음을 느낀다.

성경에 그런 구절이 있다.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니.

그러나 그 진리는 스스로 내게 오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자유도 어디서 날아오는게 아닐 것이다.

그 진리의 자유는 기다리되 멈춤은 안될 것이다.

그리하지 아니하면 우리의 자유는 영영 잃어 버리고 말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