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콘서트 1 - 노자의 <도덕경>에서 마르크스의 <자본론>까지 위대한 사상가 10인과 함께하는 철학의 대향연 철학 콘서트 1
황광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장르는 문학이다.

정말 국내 문학 뿐만 아니라 세계의 문학은 차고도 넘쳐서 읽어도 읽어도 끝이 없고 읽고 싶은 책은 어느새 한가득이 되어 버린다. 그러나 요즘 고전에 관심을 두면서 자연스레 고전문학을 많이 접하게 되었는데 고전을 접하면서 자연스레 만나게 되는 장르가 철학이 아닌가 싶다.

반면 문학만 주류가 되다 보니 확실히 한계가 느껴졌다.

한곳에서만 머물러 있다라는 생각....

문학속에서 안주하고 있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문외한인 인문학과 철학에 관심이 갔는데(가네시로 가즈키의 작품속 인물 박순신으로 인해 철학에는 더더욱 흥미가 생겼다.)책은 몇권 구입했지만 언어의 유희에 빠져 도저히 읽을 엄두가 안났다. 읽고 싶다라는 욕구만 강하다고 해서 읽어지는게 책이 아닌 이상 어쩔줄을 모르고 있었다. 그러다가 철학 콘서트를 만났다. 정말 이 책이 한줄기의 빛이 되어 다가오는 것 같았다. 책장 속에서 잠자고 있는 철학책들을 들춰 볼 수 있을 것 같다라는 막연한 희망이 생겼다.

 

평소에는 깊이 파고들, 아니 겉핥기도 안될 쟁쟁한 사상가 10인들이 책의 주역이였다. 저자는 고전여행의 안내자 그리고 철학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라는 말과 함께 친절하게 읽을 순서까지 알려준다.

어려울거라는 강박관념속에 겁을 먹긴 먹었나 보다. 책의 순서가 뒤죽 박죽이 될 것을 알면서도 저자가 알려준 순서대로 읽었다.

10인의 사상가를 한 번에 이해할 수도 없는데 저자는 위로까지 던져주며 소크라테스와 예수, 모어와 스미스 그리고 여력이 있으면 석가와 공자, 퇴계와 노자를 읽으라고 한다. 플라톤과 마르크스는 어려울 것이라며....(걱정마시라. 10인중에서 이름만 들어도 짓눌리는게 플라톤과 마르크스니...)

출발은 좋았다. 소크라테스와 예수님은 저자의 언어의 농락에 빠져 정말 나조차 놀랄 정도로 재미나게 읽었다.

그러나 문제는 서서히 드러났다.

모어와 스미스도 그럭 저럭 읽어지면서 알쏭 달쏭 해지더니 석가와 공자는 완전 무의식의 세계였고 퇴계와 노자에 이르러서는 조금씩 망각이 짙어져 갔고 플라톤과 마르크스는 저자의 염려처럼 압권이였다. 도무지 감을 잡을 수 없었다.

내가 지금 무얼 읽고 있나 라는  생각과 함께 마르크스를?

'오호~~ 역시 내게 어울리지 않아' 라는 잡념들과 함께 기억의 저편으로 사라져 버렸다.

 

이런 나와는 다르게 저자는 10인의 사상속을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유희를 만끽하는 것처럼 보이기까지 한다. 이런 사람에 이런 사상을 지니고 설파했었다라는 초반의 묘미와는 다르게 읽으면 읽을수록 저자의 유희 속에서 나는 분리되고 있었다. 분명 한사람에게 할애되는 페이지는 많은 양이 아님에도 한번의 읽힘으로 그들이 평생 지켜온 뜻을 이해할 수는 없었다. 그건 역시 무리다.

그러면서 '그들의 원작을 읽으면 어떨까' 하는 까마득한 생각이 들다가도 뿌듯한 마음이 드는 건 사실이였다.

너무나 멀게 느껴졌던 철학을 이렇게 나마 길을 열었다는 생각과 끝까지 나름대로 성의를 다해 읽었다라는 그 사실하나만으로도 기분이 좋았다.

그들처럼 깊은 사색에 빠질수는 없었지만 기억 저편에 존재하던 것들을 조금은 끌어당긴 느낌이였다. 이보다는 더 쉽게 이들을 알릴 수 없었을 거라는 생각과 함께 저자의 편안함에 기댄채 나름 즐거운 시간이였다.

속시원하게 설명할 수 없는 무엇이 그득하지만 길을 터준듯한 느낌, 자꾸 벽을 두드리게 해주었던 느낌들은 선명하다.

이런 겉핥기 밖에 얘기할 순 없지만 그들에게 그리고 고전, 철학이라는 장르에 조금은 마음을 열고 다가갔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가슴 벅차는 시간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