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기담 - 근대 조선을 뒤흔든 살인 사건과 스캔들
전봉관 지음 / 살림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확실히 요즘 일본문학과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책이 대세다.

일본문학은 비교적 많이 접했지만 요즘 쏟아져 나오는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책은 조선선비 살해 사건 이후 이 책이 두번째다.

조선왕조 500년 답게 조선선비 살해 사건은 조선의 초반을 다룬 역사서라고 한다면 겨성기담은 일제시대의 조선 즉, 근대 조선의 일반적인 사건들과 스캔들을 다른 책이였다.

다소 대중적인 소재라서 편안히 읽을 수 있었지만 일제시대라는 억압과 고통의 산물들이 아닌 깨어나려는 조선, 깨어나지 않는 조선 사이의 혼란의 냄새가 짙었다. 그 중에서도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살인 사건과 스캔들을 다루다 보니 시시콜콜하게 난잡하다는 느낌도 동했던건 사실이이다.

 

특히 스캔들을 다룬 사건 속에서 그런 느낌을 더 강하게 받았는데 그 진위를 다루는 과정을 보니 돈과 사랑, 권력 등에 대한 갈망의 산물들이라 그다지 유쾌하지 못했다.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은 분명 차이가 났지만 과정 속의 진부함은 현재와 다를 바 없어 큰 흥미를 유발시켰던 것은 아니였다.

자극적인 것들로 넘쳐나는 현대에 살다보니 책에서 다룬 사건 사고들이 미미하게 느껴지고 자극에 단련이 되어 왠만한 것에는 끄덕도 않는다는 자만 아니 자만으로 여겨질지 모르나 자극성을 떠나 책의 전체적인 맥락을 볼때 겉핥기 식이라는 느낌도 지울 수 없었다.

근대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보자면 분명 놀랄만한 것들이였으나 현재 아리랑을 읽고 있어서인지(아리랑과 시대적 차이가 나지만..) 또 다른 이면을 보여 준다는 사실보다 너무나 상반된 삶의 양상에 적응이 안되었다.

그도 그럴 것이 사건 사고들 속에서 발견 되는건 깊은 사생활이였기 때문이다. 역사의 흐름이라는 거창함까지는 아니더라도 사생활을 통해 그 안에서 드러나는 시대의 인식과 뻗어가느 변화를 엿볼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함을 담고 있어서인지 난잡하다는 느낌도 받았다. 그때의 분위기를 조금은 느낄 수 있을 것 같기도 했다.

그로 인해서 일제 시대라는 숨막히는 상황속에서도 이러한 생경한 이야기들이 압박감을 덜어 주었는지도 모르겠다.

책에서 그런 억압을 많이 다루지 않는 것은 사실이지만 경성이라는 시대적 배경 보다 사건의 진위 속으로 더 열중했던 것 같다.

 

TV에서나 다룰법한 타임머신 속으로 여행을 다녀온 기분이다.

책으로 읽게 되어 진부함이 조금 아쉬웠긴 했으나 저자는 사건과 스캔들마다 조언을 남겼다. 분명 내게 와 닿아야 하는 조언이 있었음에도 스쳐버린건 왜일까... 너무나 뻔한 잔소리 같기도 했고 그들의 낱낱한 사생활에 걸려 조언을 들을 여유가 없었나 보다.

그리고 내게 아쉬운건 철저히 시대 속으로 들어가지 못한 것이였다.

책과 나는 따로 따로 겉돌았음으로 헛점만 보였을지도 모른다는 아쉬움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처음 출판계의 대세라는 말을 언급했을 때는 꼼꼼한 독자의 판단을 염려하는 부분도 없지 않다.

그런 꼼꼼함을 내세워 시류에 휩쓸리지 않고 나에게 많은 것을 남겨주는 책들을 선택해 읽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