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들백 - 소유할 수 없는 자유에 관한 아홉 가지 이야기
바히이 나크자바니 지음, 이명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책장이 잘 넘어가지 않았다.
언어는 몽롱하고 사막의 모레가 씹히는 듯한 낯섬은 늘 빠른 속도로 책 읽기를 갈망하던 내게 치명적이였다. 첫장 '도둑'에서 책을 얼마나 덮었다 펼쳤다를 반복했는지 모른다.
그러나 책장이 잘 안 넘어간다고 포기해버리긴 싫었다. 그럴수록 꼭 읽어봐야 겠다는 갈망이 피어 오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갈망이 없었다면 이 책을 이렇게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다.
책이 서서히 스며 들어가며 몽롱함의 한가운데를 파고든 느낌.
그렇게 책이, 그리고 나의 느낌이 변해가고 있었다. 신기했다.
총 9편으로 나뉘어진 차례를 본 터라 1장 '도둑'을 읽고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렇게 끝나면 안될 것 같은데...'라는 생각이 밀려왔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각각 9편의 이야기가 나뉘어 진다면 읽어야 겠다라는 갈망이 또다시 무너지는게 아닌가 하는 섣부름까지 다가왔다.
그러나 2장 '신부'를 읽고 3장 '두목'을 읽을즈음에 나의 판단이 얼마나 어릭석었는지 파악이 되기 시작했다. 각장의 이야기가 끝났다고 해서 그게 끝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 가면서 맞게 되는 이야기는 점점 흡인력을 갖춰가고 있었다.
9장으로 나뉜 이 책은 각각의 이야기가 아니라 옮긴이의 말처럼 씨실과 날실이 만나듯 잘 짜야진 하나의 거대함이였다.
사막의 한가운데서 만나게 되는 아홉 사람의 사연의 중점에는 새들백이 있었다. 순례자의 새들백을 베두인이 훔치고 그 새들백으로 인해 차례 차례 신비함을 맛보아 간다.
함께 여행했다는 이유외에는 특별히 공통점이 없는 그들이였다.
그러나 새들백을 통해 그들은 자기 자신의 욕망에 따라 변해간다.
그런 욕망은 그 전의 모습들이 아닌 무엇에 홀린듯한 몽롱함과 열정이 있었다. 과거의 자신은 잊은채 새들백을 통해 느끼게 된 자신의 의지 하나만 밀고 나간다. 신비하달 수 밖에 표현할 길이 없다.
도대체 그 새들백에는 무엇이 있기에....
고결한 서체로 씌여진 글이 있었지만 그 글의 의미는 읽을 수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읽지 못하는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새들백이 그들에게 미치는 공통점을 찾기는 어렵다.
처음부터 공통된 것이 없는 그들이기에 당연한 것 같으면서도 몽롱하고 신비한 그 무엇의 분위기의 존재 때문이다.
그들이 어떻게 사막을 건너고 새들백을 마주하게 된 과정보다 마주하게 된 후가 그런 느낌이 더 강했다.
그런 신비함을 느끼게 해주는 가장 큰 역할은 아무래도 글의 양상이겠다. 1장 '도둑'에서 새들백을 안고 절벽에서 뛰어 내린 베두인의 모습은 보는 사람마다 다 다르다.
그리고 시각이 다르듯 느끼는 바와 미치는 영향 또한 각양각색이다.
베두인의 행동을 보며 천사라고 생각하는 신부, 암시라고 생각하는 탁발승, 어리석다 생각하는 두목등 그들의 이야기에 펼쳐지는 조연같은 사건과 인물들은 그렇게 교묘하게 짜여있다.
어떤 이의 행동이 이상하다 생각하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듯 다른 사람의 시각으로 그 행동은 파헤쳐지고, 또 본인에 의해서 한번 더 밝혀진 후 또 다른 가능성의 여부를 낳는 글의 양상, 독특했다.
그러나 그 과정을 알아가는 과정이 쉬웠다고는 말할 수 없다.
공간과 문체의 낯섬은 나와 작가가 펼쳐놓은 세계와 일체가 되지 못했고 계속 겉도는 느낌이였다. 그러나 나는 과감히 저자의 농락 속으로 빠졌다고 인정하리라.
서서히 옥죄어 오는 저자의 세계는 더디게 내딛었지만 구석 구석을 훑고 맛보는 걸음의 시작이였던 것이다. 그러한 녹록치 않음에도 나를 이끌어 주었던건 저자의 세심함 때문이였다.
처음 책을 잡았을 때부터 내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끝까지 맛볼 수 있을지 저자는 알고 있었고 그렇게 길을 만들어 주며 친절히 정리까지 해주고 있었다.
책을 읽고 나서도 몽롱함은 가시지 않는다.
사막을 둘러싼 낯선 나라들의 문화와 생활방식만 해도 정신을 차릴수 없을 정도인데 사막이라는 공간적 배경은 그런 몽롱함을 자아내기에 충분했기 때문이다.
한바탕 꿈을 꾼 듯, 그 꿈이 나빴다, 좋았다의 단순한 표현이 아닌 똑 부러지게 말할 수 없는 분위기는 사막이라는 배경도 새들백을 통한 신비함도 완벽하게 소화하고 있었다.
그 완벽함에 헤메느라 온전히 부응해 주지는 못했지만 그 분위기에 취한것만은 확실하다.
내 기억의 언저리에나 존재할법한 스쳐가는 생각을 저자는 이렇게 풀어내고 있었다.
그 역량에 놀랄 뿐 나는 여전히 사막을 헤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