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를 위한 스테이크
에프라임 키숀 지음, 프리드리히 콜사트 그림, 최경은 옮김 / 마음산책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알게 된건 김영하의 '랄랄라 하우스' 때문이였다.

'랄랄라 하우스'안에 책 얘기가 많아서 그 계기로 많은 작가를 알게 되었는데 그때 눈여겨 두었던 작품에 이 책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책을 검색해 보니 절판된 상태였다.

절판이면 책을 구할 수가 없다. 상황이 그러하였기에 이 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함에도 무한한 애정이 쏠렸다.

절판 되어서 구할 수 없다라는 사실때문이였다. 다른 사람들은 도서관가서 빌려 보라고 하였지만 빌려보는 책과 사서 보는 책은 엄연해 다른 법.

그렇게 방치할 수 밖에 없었는데 이 책이 다시 나왔다.

재발행이 된것이다.

아아.. 또다시 솟아오르는 소유욕과 읽고 싶은 욕망은 주체할 수 없었다. 그 욕구는 너무나 넘쳐 책을 마주하고 나서야 이 책이 풍자의 성격을 뛴다는 것을 알 정도로 책에 대한 애정만 넘쳤다.

뭐 그런게 책 파도타기의 매력이 아니겠냐며 스스로 위로하며 읽어 나가기 시작했다.

 

300페이지의 얇지 않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순식간에 읽어 버렸다. 흡인력 강한 가벼움과 유머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단순히 재미있다라고만 생각하며 넘길 수 없는 풍자가 있었기에 많은 공감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약간의 오버와 정서의 다름은 이질감을 주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키득거렸던 것도 사실이다.

특히나 동물 애호가인 '잘나신' 아내의 영향 때문인지 책 속의 사건 속에는 동물들이 많이 나온다.

개, 고양이,쥐, 앵무새 등 동물들로 통한 에피소드와 은근한 비유는 때론 통쾌하게 때론 씁씁하게 그려진다.

 

에프라임 자신의 가족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생활속의 사건 사고는 그렇게 그려나가고 있었다. 너무나 솔직하게 너무나 유쾌하게 그려나가는 그의 생활은 너무하다 싶을 정도의 걱정이 들기도 했다.

저러다가 가족간의 화합이 깨지는것은 아닌가(화합이 이루어지는 것같아 보이지도 않았지만..) 하고 말이다.

그러나 그들은 독특한 유대감으로 가족이라는 틀을 형성해간다.

살면서 느끼는 괴뇌들 회의감들은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해주면서 점점 그들에게 빠져가고 있었다.

 

그들에게 빠져들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저자의 독특한 감각때문이기도 하지만 그의 문체의 영향이 컸다. 똑같은 이야기를 하더라도 좀더 색다르고 재미나게 하는 센스를 갖추고 있는 사람이 바로 에프라임 키숀이였다.

그래서 그가 이야기하면 평범한 얘기도 재미 있고 매력적이 되어서 독자들에게 더 큰 여운을 주는 것이다. 이국적인 면들이 흘러 넘침에도 이렇게 내가 공감하고 같이 웃는 이유는 앞에서도 말했듯이 솔직함이다.

우리가 생활하면서 일상에서 일어나는 심경들을 너무나 드러내놓고 이야기를 하고 있기에 못말린다고 하면서도 어느새 동조하고 있는 나를 발견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풍자적인 요소를 갖고 있음에도 솔직함을 맛보았다는게 왠지 역설적으로 들릴테지만 솔직함은 풍자와 묘하게 어울린다.

 

때론 그러한 가족의 일상이 처절해 보일때도 있었기에 독특한 사고를 가졌다며 치부해 버리기도 했지만 반면 즐거워 보이기도 해 책을 읽고 난 후의 느낌은 여러가지였다.

그래서 막상 책을 읽고난 후의 잔상을 남기려고 해도 남길 것이 별로 없고 무어라 한마디로 일축하며 말하려 해도 나의 생각은 산산히 흩어지고 만다.

그랬기에 이 가족의 독특함, 유쾌함을 온전히 전달할 수가 없다.

나와 같은 시간을 갖고 느끼는 수 밖에 없다. 그러면 나의 이 마음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분명 많은 요소를 담고 있지만 저자가 가장 추구하는 것은 유머이기 때문이다.

공감하며 즐거워하기를 바라지 우스운 얘기 가운데에서 풍자의 의의를 찾느라 헤메는 것을 바라지는 않을 것이다.

조금은 유쾌하고 싶을때 혹은 현실을 비판하며 불평을 터트리고 싶을때 곁에 두고 읽으면 즐거워 질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