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답게 산다는 것
안대회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도 언급 되지만 다치바나 다카시의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에서 '실전에 필요한 14가지 독서법' 중에서 요즘 내가 즐겨서 하는 독서는 '같은 테마의 책을 여러 권 찾아서 읽어라' 이다. 특히나 이런 독서를 할 수 있음은 내게 낯설었던 테마에 흥미를 갖게 되면서 행하게 되는 독서법일 것이다.
나 같은 경우는 책 읽는 소리,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 책만 보는 바보를 읽고 이 책을 마주하게 되었다. 옛 공부의 즐거움, 스승의 옥편이라는 비슷한 책이 대기 중이지만 위의 책들을 읽으면서 조선 중기의 학자들을 많이 만났고 그들의 일거수일투족이 흥미로워 졌다.
특히나 책만 보는 바보를 통해 만난 이덕무에 관심이 많이 쏟아졌는데 이 책에서도 이덕무 뿐만이 아닌 정조때의 선비들에 대해 많이 나온다.
'책 읽는 소리'라는 책을 읽고 비슷한 책들을 찾아 보지 않았다면 잊혀졌을 선인들이였고 벗처럼 스승처럼 대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더 친근해진 느낌이고 낯설게만 느껴졌던 선비들의 모습이 조금씩 확신을 더해가는 느낌이다.
 
내가 읽었던 책들 속에서 선비들의 모습은 학문에 대한 열정, 책을 사랑하는 마음, 벗과의 우정이 주류였다면 '선비답게 산다는 것'은 좀 더 포괄적인 선비들의 활동영역과 다양함을 추구하고 있다. 저자의 개인적인 의견 피력이 곳곳에 드러나 있어 온전히 시대에 흡수 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많은 것을 추측해야 하는 어려움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함을 추구하다 보니 좁고 깊게 파고느는 것이 아니라 넓고 얇게 파고 들어서 진득한 깊이를 느끼려 하면 어느새 테마가 바뀌어버려 아쉬웠다.
몇몇 선인들의 특징을 알고 있어 읽는 재미도 더하였지만 중복되는 느낌도 있어 때론 너무 광범위해 선비답게 산다는 것보단 선비들의 모습이라고 치부해 버릴 뻔 했다.
그러나 시대를 뛰어 넘어 그들을 존경의 눈으로 바라볼 수 밖에 없는 곧음, 열정, 순수함은 한껏 지겨움이 난무한 세상에 신선함으로 다가왔다. 대부분 학문이 주류가 되는 그들의 세계에서 어려움 보다는 즐거움으로 대하고 양심에 거리낌 없이 행동하는 모습을 보면 괜히 내가 반듯해지는 느낌이다.
 
같은 시대를 살지 않더라도 느껴지는 정갈함이 이러할진대 연암 박지원이 말하는 벗의 의미는 현 시대에 머무르고 있는 내게 생경하게 다가온다.
한 세상을 살게 된 것 부터 같은 장소, 같은 나라. 같은 지역, 같은 직업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를 대며 인연의 오묘함을 말하고 있는데 나는 그러한 오묘한 인연이 몇이나 되는지 잠시 생각해 보게 된다. 그랬기에 그들의 소박한 편지와 글, 공부와 취미, 독서와 선비로써의 삶은 범접할 수 없으면서도 '이것이 바로 조선의 선비구나'라는 감탄사를 터트리지 않을 수 없었다. 특정 계층으로써의 시대적 배경을 떠나서 선비다움을 지키지 않을 수 없음은 잠시 제쳐 두고 각 분야에서 다양한 열의를 보인 그들의 모습에 잔잔한 감동이 일어난다.
시대 격차의 공백을 비웃듯이 뛰어 넘는 선인들의 성찰은 복잡하고 첨단화된 21세기를 살고 있는 내게 잠시 현실을 잊고 많은 과욕을 버리게 해주었다. 18세기 후반 백두산에 올라 내려다본 풍경은 천하만사를 모두 잊어 버리게 했다던 신광하의 충격 보다 못할지라도 잔잔한 깨달음은 나의 조재감에 감사함을 더해 주었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다방면의 선비들의 모습을 보여 주어 흥미롭게 읽어서 자칫 선비들을 통한 깨달음을 방치할 수도 있지만 자신에게 깊게 다가오는 성찰이 있을 것이다.
특히 인상 깊었던 것은 벗과의 우정, 독서, 공부였는데 요즘의 우리처럼 단기간에 무엇인가 해보려는 것이 아니라 평생을 두고 지켜가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나의 취미든 일이든 인생이든 벗이든 평생지기를 할 만한 것이 무엇일까.
마음을 다듬어 보며 생각에 잠기는 이 밤이 무척이나 고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