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이 펑펑 쏟아지는 겨울. 고느적한 분위기에서 현장독서를 하며 설국을 읽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다. 제목만 보고 생각해낸 무턱댄 바람이였는데 막상 책을 읽어 보니 첫 장면의 모습 이후 설국에 맞는 이미지는 별로 없었던 것 같다.
단순하게 온통 눈으로 뒤덮인 배경이 펼쳐질거라 생각했는데 쌓인 눈을 보면 떠오르는 추억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그렇기에 눈을 떠올리면 꼬리에 꼬리를 물듯 자연스레 기차를 타고 가던 것, 온청장의 게이샤 고마코, 또 다른 매력을 뿜어내는 요코가 차례대로 그려지며 주인공 시마무라에게 생생하게 떠오르는 것이다. 그래서 눈은 설국 속의 매개체가 되어 자연스레 자연과 인간, 그리고 추억을 연결시켜 주고 있었다.
 
그러나 무척 서정적으로 보이는 분위기임에도 그들의 내면 가운대로 빠져드는 건 쉽지 않다.
<한 나라의 고유한 문화와 정서가 짙게 배어 있는 훌륭한 작품일수록 번역도 힘들다.> 라며 번역자도 말했듯이 읽어 내는 독자도 그 공백을 메우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고마코의 변덕과 행동들이 그랬다.
시마무라를 좋아하면서도 행동과 말에서는 그녀의 진심을 찾기가 힘들었다.
고마코의 마음을 아는 시마무라의 행동도 어정쩡하고 요코에게 더 매력을 느끼며 자신이 머무르고 있는 마을에서 고마코와 요코의 관계를 알고 나서는 더 우유부단해 진다.
고마코의 한결 같을 수 없음이 자신을 향한 애정에서 비롯된 것이고 그런 고마코에게 어떠한 입장도 취할 순 없다. 그는 그냥 지켜보며 관찰 할 뿐이다. 고마코도 요코도 그들의 관계도.
 
그랬기에 그가 떠나는 날 마을에서 난 불로 인해 고마코와 요코의 또 다른 모습을 보며 끝나버리는 결말 앞에서 나는 멍할 수 밖에 없었다. 책 속으로 완전한 흡수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들의 마음을 이해해보려 해도 '우리와 많은 것이 다르니까'로 밖에 결론이 안나는 모습이 아쉬웠다.
한때 들리는 소문에 조정래님의 작품들이 노벨상을 받지 못하는 것은 번역의 문제이고 도저히 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말이 들렸다.
내가 읽어 보아도 토속적인 우리의 문화와 진한 역사가 배어 있어서 수긍이 가면서도 어쩜 이 작품도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그런 의식들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생각하면 조금은 마음이 편했지만 한 나라의 고유성을 하나하나 느끼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책을 덮어야 했다.
현재의 일본의 정서를 잘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더 거슬러 올라가는 과거의 일본인들의 모습은 100% 공감하기 힘든 것이다. 한정된 공간 속에서 그다지 특별하다고 볼 수 없는 스토리를 보며 이런 거창함을 운운하는 것은 우리와 너무나 다른 고유의 문화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였다.
그러면서도 수박 겉핥기 밖에 할 수 없는 주석들을 보며 우리와 너무 다르다고 답답해 하거나 짜증을 낼 수 없었던 것은 그 모든 것을 문학으로 이끌어 내는 저자의 역략에 순종할 수 밖에 없어서리라. 쉽게 무시할 수도 지나칠 수도 없는 멈춤이 다행으로 여겨지는 것은 문학이라는 연결 고리의 이어짐이 계속 되었기 때문이리라.
 
시마무라의 시각이 때로는 지나치게 냉담하고 이기적이다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었지만 지켜본다는 것이 더 힘들다는 것을 어렴풋이 깨달아 간다. 그래서 단순한 에피소드로 보기 보다는 처음에 밝혔듯이 기억의 회귀라는 말이 더 맞는지도 모르겠다. 어떠한 메세지를 담고 있어 그것을 떠올리는 순간 퍼뜩 생각이 나는 필연적인 연상이 아닌 자연스레 몸과 마음이 따라가는 기억의 흡수라고 말하고 싶다.
시마무라가 다시 자기의 자리로 돌아가는 것이라든가 고마코의 앞으로의 행보, 요코의 내면을 속속들이 알 수는 없지만 자연스레 그들의 흐름을 보아 주는 것도 어쩜 순리가 아닐까.
나의 틀에 모든 것을 맞추기 보다는 때로는 흘러가는 대로 나를 맡겨 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모든 것이 낯설다 할지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