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
박완서 지음 / 창비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발표된 산문집 <호미>를 읽고 나서 어느 정도 저자의 분위기에 익숙해졌다고 판단하여 내 책 꽂이에서 간택(?)된 그 전의 산문집 두부.

최신작 호미와 왠지 모르게 다르면서도 친밀감을 주는 이 느낌은 무엇 때문이였을까.

그건 아마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마주할 수 있다는(호미라는 농기구는 조금 예외일 수도 있겠다.)것 때문이 아닐까?

그러나 이러한 느낌을 온전히 지켜가기에는 '두부'는 호미보다 약간 까칠했다.

두부의 그 다양한 쓰임새에서 출소한 다음에 먹는 두부를 가지고 정치적인 얘기를 끌어냈으니 그리 유쾌한 내용들의 채워짐은 아니였다.

 

저자도 밝혔듯이 조금은 민감한 얘기들을 많이 머금고 있었지만 그래도 편안하게 읽은 셈이다. <호미>보다는 조금 더 무게감을 가지고 있었고 저자의 반복적인 에피소드의 등장도 여전해 읽으면서도 익숙한 친밀감을 많은 곳에서 느꼈기 때문이다.

비교적 <호미>에 비해 글들이 깊어서 글들의 끊어짐을 기다리며 읽기도 했지만 그렇다고 지루하다거나 따분한 기다림은 아니였다. 저자의 이야기에 넋을 빼다 보니 숨을 쉬고 싶어서라고 할까. 이상하게 박완서님의 글에서는 읽다가 덮어 버리는 끊김이 잘 되질 않는다.

단락 끊김도 마음이 편하지 않고 그 주제에 대한 끝마침을 보아야 비로소 책을 덮을 수 있는 끌림을 가진 이야기 꾼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래서 별로 쉴 틈도 없이 순식간에 읽어버렸다.

 

<호미>에서 였던가.

자신은 겪은 것 밖에 뱉어낼 수 없다고 말씀하셨는데 그 경험은 누구나 다 하고 있지만 조리 있게 편안하게 재미나게 끌어내는 건 아무나 할 수 없기에 나는 이야기 꾼이라고 버릇없이 말하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모든 것이 경험에서 나온다고는 하지만 그 글을 읽으면서 독자는 무조건 저자의 경험만을 느끼는 것은 아니다.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고 독자의 사고를 넓혀주며 그 안에서 간접경험을 시켜주니 자신은 경험한 것 밖에 쓸 수 없다는 말은 겸손한 것이리라.

 

아마 박완서님의 글을 좋아하는 독자들은 그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사실감에 매료되어 편안히 읽을 수 있다는 것에 끌려하는지도 모른다.

그 경험의 사실감은 얼마나 많은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수 없는 글의 또 다른 재료가 되어 왔던가. <호미>와 자꾸 비교할 수 없는 것이 <두부>를 읽으면서도 <호미>에서 보았던 소재의 과거 혹은 <두부>에서 보았던 소재의 미래를 오며 가며 느꼈기 때문이였을 것이다.

이것을 나는 한 얘기 또 하고 또 한다며 푸념 아닌 푸념을 해보았지만 같은 얘기를 들을때마다 익히 알고 있는 내용임에도 새롭게 들리는 것은 저자의 감칠맛 나는 글솜씨 때문일 것이다.

 

책 머릿말에 저자는 한물 간 것으로 느낄까봐, 그 당시의 세상의 숨결까지 드러나는게 민망해서 수필이나 산문집을 낼 때마다 조심스럽다고 하셨다.

독자들도 어느정도 수긍할 것이다.

그러나 그건 알면서도 저자의 문체와 익숙한 편안함에 매료되는 것을 어이할까.

나도 이러는 내가 이해가 안간다. 투덜 대면서도 저자의 작품을 찾는 것.

저자가 글을 쓸 수 밖에 없는 것도 이런 영향이 있지 않을까.

써야 겠다는 생각보다 손이 스르르 가서 글을 쓰게 만드는 익숙함.

창작의 고통을 익히 앎에도 나는 감히 이렇게 표현 할 수 밖에 없다.

자꾸 저자에 대해 반박을 하면서도 방어막을 쳐가며 핑계거리를 대고 있는 나를 보고 있노라면 우스워지기 때문이다.

무엇이 못마땅하여 저자의 글에 올인하지 못하는 걸까.......

현실로의 도피가 아닌 현실의 두드러짐에 대한 부각을 푸념하고 있는 것일까.

나는 또한 현실에서 왜 자꾸 도망치고 싶은 것일까.

답이 없는 질문이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