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콘서트
데이비드 나이븐 지음, 임성묵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건강은 오직 계획하고 준비하고 노력하는 사람이 누릴 수 있다고 한다. 나는 계획도 준비도 노력도 하지 않는데 그럼 건강하지 않는 것일까?

건강에 관해서 나는 늘 자신이 없기에 순간 마음이 약해진다.

몸이 먼저 날씨를 알아차리고 나쁜 시력에 무릎 관절이 자주 시려 건강에 관해서라면 늘 이렇듯 자신이 없다.

특별히 아픈 곳 없고 밥도 잘 먹는데 나는 왜 이럴까 노력을 안해서인가 라며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그러나 조금만 깊이 생각해 본다면 일상에서 얼마나 많은 습관적인 노력을 하는지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단지 내가 건강에 대한 노력이라고 인식하지 못할뿐 본능도 곧 노력인 것이다.

이러한 본능이든 아니면 자꾸 인식하려는 관심이든 이 책에서는 스스로의 습관과 태도를 점검해 건강한 삶을 누리라고 말한다.

무려 100가지의 소제목 속에 수 많은 건강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 100가지의 이야기를 비밀이라고 말하고 있어 당장 건강해 질수 있다는 요량으로 눈을 번뜩이며 살펴 보지만 읽으면서 그러한 느낌을 받았다.

경험하기 전에 예방할 것. 그리고 조금만 신경쓰면 건강해질 수 있다는 것.

 

각 제목마다 비교적 짧막한 글과 다시 한번 인식시키도록 만들어 주는 요약 정리와 통계는 강한 메세지로 전달된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100개나 되는 이야기들은 우리가 전혀 모르고 인지하지 못한것들도 있지만 충동적인 긴박감을 주진 않는다.

책을 읽으면서 당장 시작하지 않으면 큰일날 것 같은 긴박감은 건강에 대한 관심을 높여 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충동적인 감정은 빨리 잊고 식어버리기 일쑤다.

그런 약점을 파고들 듯 100가지나 되는 엄청난 양임에도 간단하고 강하되 자극성은 주는 것이 아니라 차분한 가운데 생각하게 만든다. 그래서 스스로 판단하고 점검해 보라는 저자의 의도는 어느 정도 따라 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의문이 들 것이다.

무엇이 그리 많길래 100여가지나 될까.

얼핏 생각해 보아도 100여가지는 도저히 나올 수 없을 것 같은데 막상 접해 보니 가능하다며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건강이라는 단어 속에 내포되어 있는 요소는 무한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나의 '몸'만이 주체가 아니라 몸에 연결되어 있는 내면 즉 정신과 하루 하루 꾸려 나가는 삶까지도 포함되는 것이다.

너무나 광범위하게 나아가고 이런 것도 포함이 될까 라는 의구심이 드는 것도 있었다.

예를 들자면 포옹을 하라든가, 명절 잘 보내기, 애완 동물이 미치는 영향, 잔디깎는 기계의 위험성까지 총집합하는 모습 때문이였다. 건강과 관련되어 있다기 보다는 우리 몸을 보호하고 정신적인 건강을 추구하는 것 같이 보였다.

 

우리가 인지하고 있는 건강의 폭은 그만큼 좁았고 전문가들의 말하는 건강의 폭은 넓었다.

그랬기에 100가지의 주의와 경고가 나올 수 있었고 그 가운데에서 우리는 헤멜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건강을 잃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라는 말을 포용하고 있는게 이 책이 아닌가 싶다. 건강했을때 우리가 누릴 수 있는 기쁨과 삶에 대한 충만감까지 건강에서 비롯되는 것은 수백 수만가지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순한 신체의 건강이 아닌 그 많은 것들을 만족시키고 건사하려면 얼마나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소중히 생각해야 하는지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려워 보여도 그렇게 힘든 것이 아니라는 것 또한 알 수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우리 외부와 내부에 깔려 있는 틀은 그렇게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그것을 깨닫고 보호하는 것이 아닌 흥청 망청 낭비해 버린다면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고 많은 것을 잃어 버릴 수 있지만 그것을 자각했다면 지금부터 하면 되기 때문이다.

 

신체, 정신 삶의 영위까지 폭 넓게 생각하고 크게 한번 숨 쉬어 보라. 상쾌함이 흐를 것이고 미래의 밝은 모습이 상상이 될 것이다. 그러나 언제든지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때론 의도하지 않는 일들로 나의 건강이 위협 당하고 망가질 수 있다.

최악의 경우를 상상하지 않더라도 그 전에 우리가 자신을 어떻게 가꾸냐에 따라 닥치지 않을 일도 어느 정도는 헤쳐나갈 정신력과 가능성의 기질을 만들 수 있냐 없냐는 건강도 큰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에 건강은 쉽게 지나칠 수 없는 것이다.

건강을 잃고 뒤늦은 후회를 하는 사람들을 남일 보듯이 하는 것이 아닌 그것은 언제든 나의 모습이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늘 깨어 있어야 한다. 그것은 절대 멀리 있거나 어려운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활 속에 늘 잠재되어 있다.

다시 한번 나의 건강을 돌아 보고 사색하며 앞으로 살아갈 삶은 건강하게 꾸려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