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선인
이토야마 아키코 지음, 김경인 옮김 / 도서출판두드림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어쩌면 나는 바다의 선인 카츠오를 선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름다운 바닷가에 아늑한 집에서 하루 하루 자기 나름대로의 삶을 꾸려가며 사랑하는 사람을 기다리는 것.

그것보다 아름답고 평안한게 어디 있을까.

나는 하루 종일 집과 바닷가를 뒹구며 책을 보고 음악을 듣고 차를 마시며 수영을 하고 내가 사랑하는 모든 것을 사랑해주는 사랑하는 사람을 기다리는 것. 상상만해도 기분이 좋아지고 세상을 다 얻은 기분이다. 그러나 그건 나와는 거리가 멀기에 상상만으로도 행복해지는 건지도 모르겠다.

 

세상을 피해 사는 사람 같다는 선인. 카츠오도 복권이 당첨되기 전에는 상상하기 힘든 상황이였을 것이다. 복권으로 인해 당분간 먹고 사는데는 문제가 없었기에 회사를 그만두고 조용한 바닷가에서 살아가고 있었지만 도시 사람들에겐 그가 무료해 보일지 몰라도 카츠오도 나도 만족할만한 상황이였다.

거기다가 사랑하는 사람까지 만났으니. 덤으로 별 도움 안되는 신神 판타지까지.

 

옮긴이는 판타지의 존재를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했다.

그건 나도 마찬가지였다. 처음에 판타지의 등장은 생뚱맞고 어색했다. 신이라는 생각은 전혀들지 않고 카츠오의 집에서처럼 식객이 더 어울리는 역할이였다. 대부분 어디선가 본 것 같아서 알고 있기도 하지만 카타리기처럼 판타지를 모르는 사람도 있다.

그 부분에 큰 의미부여를 둔 것은 아니지만 판타지는 지나가는 바람 같았다. 무얼 해줄 수 없기에 신이 존재한다며 엉뚱한 말과 행동을 서슴치 않고 전혀 신 같아 보이지 않는 존재다.

그러한 판타지는 카츠오, 카타리기, 카렌에게 자연스레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지만 카츠오가 가지고 있는 의문처럼 모두는 판타지를 자연스레 잊기도 하고 자연스레 받아 들이기도 한다.

카츠오가 시력을 잃은 후 바닷가에서 첼로를 켜고 있을때도 말이다. 카츠오에겐 판타지의 출현이 카린처럼 자연스럽다.

그녀가 떠나고, 그녀와 오랜시간 같이 하지 못했지만 그녀가 다른 세상으로 가버린 후에도 늘 기억 저편에 살아 있어 자연스레 꺼낼 수 있는 것처럼 판타지는 더 쉽다.

대화하기도. 그리고 기억하기도.

 

카츠오는 카린의 죽음 앞에서도 슬픔의 티를 별로 내지 않았지만 그는 마음속에 그녀, 그리고 그녀와의 추억을 깊이 담은 것 같다.

그 추억이 그의 전부가 되어 버린 첼로 속에 봉인 되어 있듯이 말이다. 그러나 카타리기는 카츠오에게 다가오고 있다.

오래전부터 카츠오를 좋아하고 있지만 그 사실을 카츠오도 알기에 그녀에게 좋은 답을 말해줄 수 없지만 그녀는 오랜시간 마음의 방황뒤 카츠오를 보러 온다. 아마 그가 눈이 멀었다는 사실에도 개의치 않고 그를 여전히 사랑할 것이다. 그들의 이야기는 어떻게 될지 모르나 시간이 흐른 후 좋은 모습을 기대해도 좋을 듯 하다.

단지 시간이 흘렀다는게 변화했을 뿐 새로운 그들의 변화는 충동적이지 않을 것이다.

 

판타지의 등장, 카츠오의 삶이 독특하게 다가왔지만 카린의 죽음 카타리기의 마음에 있는 카츠오를 향한 변치 않는 모습 등은 충분히 식상한 내용이였다.

여기 저기에서 접붙인 듯한 느낌이 든 것도 사실이였다. 너무 뻔한 내용들에 익숙해져 있고 왠만한 자극에도 흔들리지 않는 약아버린 나일지 모르지만 식상함뒤에 오는 무의 감정은 뜨뜻미지근 했다.

그러나 카츠오의 생활은 부러웠다.

통장의 잔고가 아닌, 일을 하지 않아도 되는 삶이 아닌 복잡한 세상을 벗어나 자신만의 방식으로 살아가고 사랑하고 자신을 새로 발견해가는 모습이 부러웠다.

나는 그럴만한 용기가 없다.

그렇기에 그의 용기를 부러워할뿐 '당신은 참 식상해'라고 말할 수 있는건 용기가 아닐 것이다.

나를 향한 자책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