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아들
박목월.박동규 지음 / 대산출판사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관계를 생각해볼때 나이가 적든 많든 아버지의 든든함, 위대함은 아들이 뛰어 넘을 수 없는 범접함에 속해있다는 것을 이 책을 읽는 내내 느끼고 있었다.

청록파의 대표 시인 박목월.

그 이름만으로도 느껴지는 묵직함은 실로 거대한 것이였다.

그런 아버지를 둔 박동규.

그 두사람의 글이 한권으로 묶여져서 나왔다. 그러나 이 글들을 묶은 박동규님은 이 작업이 몹시 망설여졌다고 한다. 그 이유인즉슨 대학시절 논문을 아버지께 한 부 드렸더니 빨간 볼펜으로 수정을 해놓은 것을 본뒤 아버지와 나란히 글이 실린다는 것 자체가 부끄럽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그래도 박목월 시인의 아들이니 크게 다를 바가 없을 거라며 겸손함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박동규님에겐 미안한 일일지도 모르겠으나(그렇게 생각하지 않으실테지만...) 내가 느끼는 박목월 시인의 글도 그러하였다.

왜 아버지와 함께 실리는 것조차도 송구할 일인지 왜 그렇게 어려워하는지를 말이다.

 

박목월시인의 일기를 읽고 있으면 정갈하면서도 서정적인 느낌, 그리고 마음 한켠이 싸하게 아파오는 뜨거움이 느껴져 한국문학의 매력을 제대로 느낄 수 있었다.

그 동안 번역된 외국문학을 수없이 읽어왔던 것이 한순간 위로가 되듯 그렇게 그의 글은 군더더기 없이 단아했다.

가슴아픈 일은 더 가슴 아프게 평범한 일상은 특별하게 박목월 시인을 거쳐가는 것들은 그렇게 변신을 하고 있었다.

아버지로써 남편으로써의 애틋함이 곳곳에 묻어났고 글쟁이로써의 보람과 생계의 고단함은 그의 글에 고스란히 녹아 있었다.

 

또한 신앙을 가지고 가정의 중심에 우뚝 서게 한 다음 일곱식구가 그안에서 때로는 아등바등 때로는 너무나 즐겁게 살아가는 모습이 내 마음까지 포근하게 만들어 주었다.

우리집은 박목월시인의 식구보다 더 많아 화목보다는 경쟁의 나날을 보내곤 했지만 어릴적 아버지 앞에서 예절을 차리던 일들이며 수많은 추억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갔다.

그래서 책장을 넘기다 말고 멍하니 사색에 빠지기도 했다.

나의 어린시절, 아버지, 가족을 생각해보니 그립기도 하고 서럽기도 하여 오만가지 만상에 빠져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박목월 시인의 글들이 이렇듯 현실감에 낭만을 더해주었다면 아들 박동규님의 글은 아버지에 대한 추억, 가족에 대한 일화들이 대부분이여서 박목월시인의 글의 숨겨진 에피소드를 보는 듯한 느낌이였다. 처음 내가 말하였던 아버지의 위대함은 이러한 느낌 때문이였으리라.

유명한 시인이기에 그는 추켜 세우고 그의 아들일지라도 아버지를 뛰어넘을 수 없기에 혹평하는 것이 아닌 글에서 자연스레 위대함이 느껴졌다.

신앙으로 키운 자녀, 아버지와 반대로 아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아버지, 가족의 모습들이 아버지 글에서 아득히 먼 미래였다면 아들의 글에서는 과거가 되는 교감.

그렇게 글의 맛은 달라도 톱니바퀴가 맞물려 가듯 부자의 글은 하나가 되고 있었다.

박동규님의 글에서는 서정성이 조금은 부족하고 아버지에 대한 추억과 기억을 억지로 끌어내려함이 보여 자연스러움이 아쉬웠으나 그도 그럴것이 박목월 시인의 글은 일기에서 발췌한 것들이고 박동규님은 모든걸 짜내야 했으니 내가 느끼는 감정도 무리가 아니였을거라 생각된다.

 

그러나 그 가운데 내가 무어라 말할 수 없는 것은 핏줄의 끈끈함이였다. 서로의 글에 녹아 있는 가족이라는 울타리안의 더운 피는 내가 무엇으로도 부정할 수 없고 무엇으로도 떼어낼 수 없는 핏줄의 끌림이였다.

그걸 느꼈기에 온 가족이 들썩 들썩 했던 나의 어린 시절이 떠올랐는지도 모르겠다.

비단 이러한 추억 뿐만이 아닌 박동규님이 알리고자 했던 '허물어진 가정을 회복시키고 인간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의미하고 이는 세계가 무엇인지 알게 하는 단서 제공'에도 크나큰 역할을 했으리라.

이 글을 읽고 있는 것 만으로도 인간임이 소중하고 가족의 울타리에 있다는 것이 눈물겹도록 서럽고 행복해지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