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고 온 시 창비시선 213
고은 지음 / 창비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모국어를 한밤중에 애틋하게 사모하지 않을 수 없다' 라고 고은 시인은 말한다.

한밤중의 애틋함.

쉽게 지나칠 수 없는 마음이다. 나 또한 경험했기 때문이다.

 

이 시집을 사놓고 읽기 시작한게 꽤 오래전인데 나의 마음처럼 고은 시인의 시는 잘 읽혀지지도 와닿지도 않았다.

시인의 비평만이 나의 귓등을 간지럽히고 있었다.

그러한 비평에 나도 어쩔 수 없이 동조하면서 몇달을 읽다만채 방치하였다. 그렇게 묻혀있는 시집을 보면 마음이 불편하고 후딱 소설처럼 읽을 수 없음을 안타까워하며 시간만 흘려보냈다.

시집을 펼쳤다 덮었다를 수없이 반복하던 밤.

그날은 무척 피곤한 밤이였다.

쌓여있는 책들을 보며 한숨짓던 밤.

그리고 도저히 시를 품을 수 없는 밤이였다. 그걸 잘 앎에도 무작정 시집을 펴들었다.

책 갈피가 꽃혀있었지만 읽은 시들이 무색할 정도로 기억이 나지 않는 밤. 남은 시를 홀라당 마음에 풀어버린 날은 그렇게 대조적인 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피곤함, 나른함, 초로함이 느껴지는 가운데 펼친 시들이 이렇게 읽혀질지 상상할 수 없었다. 시집을 덮고 나니 읽어 버린 시간이 무색하였지만 애틋하게 모국어를 사모하였다던 고은 시인의 밤은 고스란히 내게 전달되고 있었다.

 

글이라는 것이 어느 누가 쉽게 쓰겠냐만은 시를 휙휙 읽을 때는 나의 얼굴이 뜨겁다. 음미하는 것이 아닌 읽기 위주였기에 그러하리라.

그 밤의 나는 고은님의 시를 얼굴이 뜨거울 정도로 빠른 속도로 읽어 나갔다. 그러나 그 뜨거움에는 민망함이 그득한 것이 아니라 환희와 열정이 그득하였다. 시를 쓰는 시인의 마음, 그 시를 읽는 독자의 마음이 혼연일치되는 밤.

그렇게 그 밤은 내게 각별해져 가고 있었다.

 

1부 2부로 나뉘어져 있긴 하지만 2부는 '작은노래'라는 제목이 붙어 있는 독특한 시인 반면 1부는 시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순례시이다. 여러 나라를 여행하며 쓴 시이기에 낯섬이 대부분이였다.

나는 나라 밖을 나가본 적이 없다는 핑계가 말이 되지 않을 정도의 낯섬. 그렇게 겉돌던 시들이였는데 순례시들 가운데 고국을 기억하는 시들을 보며 또한 작은 노래라는 2부의 시들을 보며 나의 마음은 환히 열려 버렸다.

시인이 말하는 풍경이 펼쳐지고 시인의 마음이 그대로 느껴지는 시간. 나의 마음은 시인의 시를 따라 이리저리 여행하고 있었다.

 

특히 많은 시들의 비슷한 분위기의 1부의 시보다 고은시인만의 독특함이 살아있는 2부의 시들의 매력은 신선했다.

하이쿠 같은 독특함이 느껴지는 고은표의 신선함이라고나 할까.

절제되고 짧지만 가슴이 저릿해지는 드러남이 느껴지는 시들이였다. 시대의 아픔부터 정체성이 발견까지 두루 퍼지는 주제는 내게 멀면서도 가깝게 느껴져 한참이나 내자리로 돌아오기가 힘들었다.

 

참으로 진귀한 밤이였다. 시가 내 안으로 들어온 밤.

시를 통해 나를 재발견 할 수 있었던 밤이였다.

꾸준함으로 읽히는 시가 아닌 폭풍처럼 휘몰아쳐 많은 것들을 쓸어가는 한편 많은 것들을 남겨 놓았지만 그 가운데 서 있는 나를 발견하는건 어렵지 않았다.

시에 대한 견문과 지식이 짧아 그의 시를 무어라 말할 수 없고 설명할 수 없지만 그 밤은 분명 그의 시가 온전히 내게 들어왔노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시의 절망이야말로 과거의 시와 미래의 시를 이어주는 시의 빛나는 축제를 진행시키는 것입니다'

 

이 말을 통해 나의 절망을 두려워하지 않음을 배운 것은 비단 시를 통해서만이 아닌 그를 온전히 느꼈기에 가능했던게 아닌가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