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 재판정 참관기 - 100년 전, 안중근 의사와 일본인 재판관이 벌인 재판정 격돌, 현장 생중계! 재판정 참관기 시리즈
김흥식 엮음 / 서해문집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혼자만의 시간도 가지고 차도 한 잔 마시러 카페에 갔다. 다소 신난 음악을 들으며 그 시간을 만끽하고 있는데 나는 왜 하필 이 책을 가져갔을까? 책을 읽은 지 얼마 되지 않아 한 장의 사진 앞에 멈췄고 순간 눈물이 날뻔 했다. 각자 나름대로 카페를 즐기고 있는 사람들 틈에서 나 또한 마음이 평안했고, 귓가에 흐르는 음악도 그런 분위기를 고조 시키고 있었다. 그런데 그런 내가 이방인이 된 듯한 기분이었다. 외국어로 된 음악, 커피, 불특정다수들이 모여드는 카페. 현재 나를 둘러싸고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 혼란스러웠다.

 

한참 동안 책장을 넘기지 못하고 들여다 본 사진은 하얼빈에서 암살을 앞둔 안중근, 우덕순, 유동하의 마지막 기념사진이었다. 의거 3일 전에 마지막을 예감하듯 이발소에서 머리를 단장하고 의식을 치르듯 찍은 사진이었다. 왜 이렇게 이 사진이 나를 사로잡았을까? 눈물이 맺히고 마음이 울컥하게 만들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당시 안중근 의사의 나이는 31세, 우덕순은 34세, 유동하는 19세 라는 나이 때문이었을까? 그 이유를 알고 싶어 안중근 의사의 재판이 열린 재판장으로 기꺼이 들어갔다.

 

이 책은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 역에서 일본 초대 총리이자 제1대 대한제국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안중근의 재판 과정을 재구성한 책이다. 안중근 의사는 현장에서 바로 체포되어 뤼순 감옥에 수감되었고 1910년 2월 7일부터 14일까지 8일 동안 여섯 번의 공판을 받는다. 그 공판 속으로 독자를 끌어들이고 있고, 공판을 지켜보면서 안중근 의사가 왜 그런 행동을 하고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낱낱하게 보여주고 있다.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것은 동양 평화를 위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일본이 러일 전쟁을 일으킬 당시만 해도 동양 평화를 유지하고 한국의 독립을 위한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토가 부임한 이후에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를 설치한 을사늑약(1905년 11월)과 행정권을 박탈한 정미 7조약(1907년 7월)을 강제로 체결하고 동양 평화를 위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을사늑약 당시 황제의 옥새와 총리대신의 허락도 없이 체결했으므로 부당함은 불 보듯 뻔했다. 익히 알고 있듯이 일본은 우리나라를 기점으로 삼아 제국주의를 향한 야욕이었을 뿐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안중근 의사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그래서 한반도를 넘어 동양 평화에 위협을 가중시키는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했다. 그리고 ‘의병으로서 행한 일이기에 전쟁포로로 이 재판장이 있는 것이라고 확신한다. 나는 국제공법, 만국공법에 따라 처리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일본인으로 구성된 두 변호사의 엇갈린 변호(사형과 무죄)에 자신의 주장을 정확히 말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죄’라고 주장하는 변호사에게도 ‘오늘날 모든 인간은 법률에 따라 생활하고 있다. 그런데 사람을 죽이고도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다니 말이 되는가?’ 라며 자신을 법대로 처리해 달라고 말한다.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으며 자신의 행동까지 책임지는 모습에 알 수 없는 뜨거움이 자꾸 올라왔다.

 

그런 의문이 들었다. 어떻게 이렇게 자신 있게 행동할 수 있었을까? 이렇게 의식이 깨어있을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이었을까? 그는 고향을 떠나 3년 동안 활동하면서 ‘첫 번째는 한국의 교육을 꾀하는 것이요, 두 번째는 한국의 의병으로서 나라를 위해 이곳저곳을 다니며 연설을 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그리고 조국에 대해 품은 사상은 오래 전부터였고, 러일전쟁이 일어날 무렵 더욱 절실해졌다고 했다. 그가 행동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조건이 있을 수 있었겠지만 조국에 대한 사랑을 넘어 동양 평화까지 생각하는 사람 앞에 불가능한 것이 없어보였다는 말 밖에 할 수 없었다. 똑같은 상황을 겪고 보면서도 생각하는 바가 모두 다를 수밖에 없다. 행동만이 최선은 아니지만 여러 가지 모양으로 뜻을 함께한 사람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안중근 의사는 기꺼이 조국을 대표했고, 형식적으로 이뤄진 재판에 순응하면서도 목숨을 구걸하지 않았고 자신의 뜻 또한 굽히지 않았다는 사실도 말이다.

 

안중근 의사가 뤼순 감옥에서 쓰기 시작한 <동양평화론>은 완성되기 전에 형이 집행 되는 바람에 미완으로 남아 있다. 한국과 일본 중국이 힘을 합쳐 서양의 제국주의에 맞서 평화를 위해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책이라고 하는데, 100년이 지난 현재를 보면 안중근 의사는 무슨 생각을 할까? 동북아 국제 정세는 달라진 것이 없고, 더 적대적이며 여전히 전쟁을 통해 목적을 달성하려는 사람들의 모습이 뻔히 보인다. 행동을 할 수 없다면 적어도 생각이 깨어 있어야 한다. 수많은 역사 속에서 생각이 깨어 있고 행동했던 사람들이 있어 (극단적인 예로 ‘헬조선’이라 부르는) 현재가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너무 뻔하지만 그게 사실인 걸,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걸 어떡해야 할까. 이 책을 읽는 내내, 의거를 치르기 전에 찍은 사진을 보며 눈물이 났던 이유가 이 때문인지도 모른다. 내 귓가에는 당시에 들었던 외국어 노래가 흐르고 있다. 내 곁에는 커피가 있다.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답은 여전히 알 수가 없어 혼란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