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있다면? 없다면! ㅣ 생각이 자라는 나무 12
꿈꾸는과학.정재승 지음, 정훈이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8년 6월
평점 :
그들이 가장 중요하게 꼽은 훌륭한 과학자의 조건은 ‘비판적 사고’와 ‘과학적 상상력’이었다. 세상을 뒤흔들어 놓을 새로운 과학은 항상 ‘당연하다고 믿는 상식을 비판적으로 따져 보고, 근거 있는 상상력으로 뒤집어 보는 데’에서 시작되기 때문이다. 6쪽
저자와 ‘꿈꾸는 과학’ 친구들과 함께 만든 이 책은 서문에서 밝혔던 것처럼 목적이 명확하다. 과학적으로 맘껏 상상하고 비판적 사고를 통해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 문제는 없는지 근거가 명확하게 드러나 있다. 기발한 상상, 엉뚱한 상상, 희한한 상상, 놀라운 상상 네 가지로 나눠 소개하고 있는데, 이런 상상을 하고 근거를 끌어온다는 것이 그저 신기했다.
흔히들 ‘방귀’ 하면 메탄가스부터 떠올리지만, 우리의 상식과는 달리 메탄가스가 포함된 방귀를 끼는 사람은 전체 인구의 약 1/3 정도밖에 안 된다. 오히려 방귀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수소’이다. 162쪽
만약에 근거해 ‘꿈을 찍는 캠코더가 있다면?’ ‘입이 배꼽 옆으로 이사 간다면?’ ‘방귀에 색깔이 있다면?’ ‘태양이 두 개라면?’ 등 다양한 상상력이 기반이 된 질문들이 쏟아진다. 그리고 과학적으로 접근하고 사실을 보태 현실 가능성과 상상력의 경계를 오간다. 그저 주변에 있는 것들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거기에 상상력을 보탠다거나 더 나아갈 방향 같은 걸 생각해 본 적이 거의 없다. 그래서인지 이런 상상을 하는 것도 신기한데 과학적 접근과 상상력이 합쳐진 이유들은 더 놀라웠다.
내가 잘 알지 못하고 관심 밖의 분야를 누군가는 흥미롭게 접근하고 발전 가능성을 야기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뭔가 뿌듯해졌다. 우선 하고 싶은 일을 한다는 것. 상상력도 그렇고 과학적인 접근도 그렇듯이 열정적으로 무언가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이 꿈꾸는 과학에 참여했던 학생들만 보아도 충분히 느껴졌다.
좋아하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한 권의 책으로 나오기까지의 과정이 녹록치 않았다고 고백했지만 그나마 좋아했기에 그 모든 과정을 기꺼이 만끽했을 거라 믿었다. 상상력을 결과물로 만들어내겠다는 일 자체가 어쩌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일지도 몰랐다. 그래서 이 책을 읽고 있는 것만으로도 곳곳에 노고가 느껴져 무조건 응원하고 싶어졌다. 그리고 그런 노고와 열정도 닮고 싶었다. 그들이 만들어낸 상상력과 과학적 접근은 힘들더라도 무언가를 향해 끝까지 가는 모습이 참 인상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