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을 하나님 되게 - '골라 믿던 신앙'을 떠나 '진짜 하나님'께 다가서기
J. D. 그리어 지음, 정성묵 옮김 / 두란노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죄로 고통이나 굴욕을 당하는 것이 하나님의 진노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그것은 연민의 표현이다. 하나님은 죄가 원치 않는 결과를 낳는다는 걸 똑똑히 보여 줌으로써 우리를 깨우신다. 내 지인의 표현을 빌리자면, “하나님은 되갚아 주려는 것이 아니라 되돌리시려는 것이다.” 190쪽


최근 나에게 큰 변화가 예견되는 일들이 생겼다. 그런데 이상하게 두렵지 않았다. 분명 다른 때의 나였다면 화를 내고, 짜증을 내고, 왜 나에게만 이런 변화가 일어나는지 불평을 터트렸을 것이다. 하지만 갈수록 마음이 차분해졌고, 하나님 안에서 해석하려고 애썼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깨달았다. 하나님께서 되갚아 주려는 것이 아니라 되돌리시는 것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내가 더 나락으로 떨어지기 전에 건져주시려는 사실을 겨우 깨달았다. 이 책에서는 내 멋대로, 내 편할 대로 하나님을 끌어다 꿰어 맞추지 하지 말라고 했지만, 나의 깨달음이 부디 그런 게 아니길 간절히 바랐다.

저자는 하나님을 섬기는 목회자지만 평신도라면 누구나 느끼고 고민했을 문제부터 접근해 이 책의 제목처럼 ‘하나님을 하나님 되게’ 믿어야 하는지 인도한다. 왜 나는 다른 사람들처럼 ‘예수님을 향한 뜨거운 사랑에 불타지 못했’는지, ‘희생은 짐처럼, 예배는 의무처럼’ 느껴지고 ‘그냥 믿는 것조차 그토록 벅찼’는지를 말이다. 목회자라면 고백하기 쉽지 않을 수 있는 문제부터 접근해 하나님을 진짜로 만났는지의 과정이 성령이 임하듯 당연하면서도 자연스럽게 들어온다.

나 역시 하나님을 늘 곁다리에 두고 편할 대로 믿으며, 여전히 내가 중심이고, 내가 좋아하는 것들을 우선순위로 두며 가지치기를 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렇기 때문에 예배를 열정적으로 드리지 못했고, 믿음이 넘쳐 자연스레 전도를 하지 못했다는 사실도 말이다. 모든 것이 의지로 되는 것이 아님에도 나는 여전히 내 의지대로 행하면서 내 맘대로 되지 않으면 그때마다 화를 내고 짜증을 냈다는 사실도 말이다.

내 문제를 하나님께 ‘말하는’ 게 아니라 그것을 하나님께 ‘믿고 맡기는’ 것이 기도의 핵심임을 늘 기억하려고 노력한다. 342쪽

나도 저자의 고백처럼 말을 많이 해야만, 내 모든 것을 다 털어놓아야만 기도가 응답이 되는 것처럼 굴 때가 있었다. 그리고 달라는 기도만 했던 순간들이 많았음을, ‘골라 믿던’ 선택적 신앙이 팽배했음을 말이다. 그 사실을 인정하고 변화를 해야겠다고 마음먹은 순간부터 이미 내 마음에 은혜가 들어와 있었다. 그리고 어느새 내가 낮아지고 하나님의 높아짐을, 평소에 하던 자잘한 걱정과 근심들이 작아지는 것을 느꼈다. 나의 존재가 작아졌는데도, 내가 내세울 것이 하나도 없고 연약한 죄인이 되었음에도 하나님 앞에서는 모든 게 상관없었다. 나에게 어떤 시련이 오던지, 내가 어떤 모습이던지 ‘예수님은 보장된다.’는 사실만 기억하면 되었다.

그렇다고 내 변화에 충만해, 내적인 평안에 취해 이 은혜를 만족하는 것에 그치지 말라고 말한다. ‘복음을 알고도 잃어버린 세상에 그것을 전하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 우리가 과연 정말로 구원을 받은 것일까?’ 라는 질문은 우리가 받은 은혜와 믿음을 한 단계 더 성장시키길 인도한다는 사실도 말이다. 내가 처음 하나님을 영접했을 때가 그러했듯, 누군가가 나로 인해 하나님 앞에 나올 수 있다면 이 땅에서 그것보다 더 큰 사명은 없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