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토의 색 산하세계문학 7
아리네 삭스 지음, 카릴 스첼레츠키 그림, 배블링북스 옮김 / 산하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시즘은 죽은 것이 아니다. 단지 가면을 쓰고 모습을 숨기고 있었을 뿐이다. 파시즘은 새 옷을 입고 다시 나타나기 위해 변신을 꾀하고 있다.” 그의 비판은 참혹한 피해자의 입장에서 어느새 가해자가 된 이스라엘이나, 과거를 부정하며 재군사화를 서두르고 있는 일본 등 모든 국가에 해당된다. 171쪽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모든 걸 잃은 채 개인은 철저히 무시된 채 차별과 집단이 되어야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언제나 숙연하게 만든다. 어른의 시선이 아닌 어린 아이인 미샤의 시선으로 그려지는 이 책은 그래서 더 비참하고 인간이란 과연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생각하게 만든다. 독일군에게 바르샤바를 점령당한 뒤 게토 안에서만 거주하게 된 유대인들의 삶은 비참했다. 그들에게 인권은 없었으며, 부족한 식량으로 인해 굶어 죽기 시작했다. 미샤의 아버지는 의사여서 그동안 진료비로 음식을 받을 수 있었지만 그마저도 끊겨서 먹을 게 부족해졌다. 미샤의 어머니는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모래알처럼 무너져’ 내리고 있었고 어린 동생 야니나를 위해서라도 음식을 구해야 했다.


미샤는 하수구를 통해 게토 밖으로 나갔고 닥치는 대로 음식을 훔쳐왔다. 한동안은 그 음식들로 인해 가족이 생명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병사들이 그렇게 몰래 밖을 오가는 사람들을 잡아들이기 시작했고 미샤는 위험을 느낀다. 그러다 어떤 남녀가 맨홀로 들어간 뒤 독일군들이 구멍 속에 불길을 집어넣는 것을 보고 미샤는 더 이상 밖으로 나가지 못한다. 유대인들이 겪었던 폭력과 인권유린은 그것으로 그치지 않았다. 어린 아이를 벽에 던지고 엄마를 총살하는가 하면, 미샤 대신 음식을 구하러 갔던 야니나도 돌아오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살아내야 했던 사람들의 처절함이 가늠되지 않아 처참한 기분이었다. 왜 인간이 이렇게 인간을 이렇게 학살하는 것인지 회의감이 들었다.

그럼에도 미샤는 살아있기에 먹을 것을 구해야 했다. 그러다 우연히 모르드카이라는 청년을 만나게 된다. 그에게 독일군에 맞서 싸우고 있는 비밀 조직의 이야기를 듣게 되고 가만히 앉아 죽기를 거부하고 그를 따라간다. 그곳에서 군사 훈련을 받는 등 미샤도 죽음만 기다리던 아이가 아닌 독일군을 맞서 저항하는 힘을 조금씩 기르게 된다. 그러다 히틀러의 생일을 맞아 게토를 쓸어버린다는 계획이 들려온다. 조직 대원들은 독일군을 상대로 이긴다는 것이 어려운 만큼 명예로운 죽음을 택한다. 그렇게 독일군에 맞서 치열하게 싸웠지만 대부분 죽고 은신처까지 뺏기게 된다. 미샤는 모든 걸 포기한다. 희망이 없다 여겨 강제 수용소에 끌려가거나 총에 맞아 죽어도 상관없다고 말이다.

그렇게 절망하게 있을 때 다른 조직원인 프롬카가 게토 밖으로 나가서 동지들이 용감하게 싸우다 죽었다는 사실을 알려야 한다고 말한다. 미샤는 절망하고 잠시 망설이지만 그들의 죽음을 헛되이 하지 않기 위해 프롬카와 함께 게토 밖으로 나가는 것으로 소설은 끝이 난다. 끔찍한 역사의 소용돌이에서 살아 있는 것조차 버거운 상황에서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용기를 잃지 않는 사람들을 보며 마음이 뭉클해졌다. 용감하게 나라를 지켜주는 사람들이 있었기에 현재 우리가 이렇게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도 말이다. 정의를 위해, 자유를 위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이름 모를 이들에 대한 감사함에 마음이 먹먹해진다. 뻔한 감정이라고 여겨왔던 이런 고백이 이 책을 읽으면서 진심으로 우러나고 있었다. 그들에게 어떻게 감사함을 전해야 할까? 그들을 위해 잠시 묵념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