넉 점 반 우리시 그림책 3
이영경 그림, 윤석중 글 / 창비 / 2004년 1월
장바구니담기


이미 널리 알려져있고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있는 한 편의 동시를 그림책으로 만든다는 게 어디 만만한 일일까? 부담이 클 법도 한데 이영경의 솜씨를 보면 절로 탄복할 수밖에 없다. 오래전 <아씨방 일곱동무>를 그림으로 풀어낸 그녀의 솜씨가 다시 생각난다. 동시 넉 점 반은 '아기가 아기가..' 이렇게 시작하지만 그림책 <넉 점 반>은 그 전에도 이야기가 있다. 표지에서부터 아기는 조그맣게 달린 호박을 당기며 지나간다. 잠자리가 날고 멍멍이가 있다. 그리고 면지에서 아기는 호박꽃을 뒤로 하고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는 중이다. 이렇게 넉넉한 여백에 그 순간이 표현되어있다. 이제 동시가 시작되려는 중이다.

아기가 도착한 곳은 가겟집. 한자를 섞어 손글씨로 쓰인 구복상회, 담배판다는 표시, 철망 상자가 있고 그 옆에 닭 한 마리, 그리고 '닭팝니다'라는 표지. 가게 앞에는 '하-드'라고 적힌 아이스박스일듯 싶은 통도 놓여있다. 복덕방이라 세워진 안내판, 그 옆에 자전거, 가겟집 뒤로 전봇대에 매달린 알전구 가로등. 시대를 내가 태어난 60년대 즈음으로, 아니 어쩌면 그보다 앞선 때로 확 돌리는 풍경, 색감.

구복상회 안에는 어떤 분이 가게를 보고 있을까? 이영경은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을 보여준다. 이 방 안의 풍경을 구경하는 재미는 오달지다. 달력, 벽시계, 문틀 위의 액자, 방 안의 '꽃가라 오봉^^',성냥통, 주판,..이런 소품들이 모여 그 방을 이룬다. 영감님은 가게만 보는 게 아닌 듯, 연장들을 펼쳐놓고 라디오를 고치고 있는 중이다. 아기는 열다 만 문, 창호를 뜷고 발라둔 유리를 통해 영감님을 본다. 그래, 방 안에서도 가게 상황을 쉽게 보려고 그렇게 해두던 걸 본 적이 있다. 너무나 사실적이고, 정겹다. 깨진 귀퉁이에는 종이로 수선을 해두었고.

대사는 한 줄, "넉 점 반이다." 영감님의 시선은 아이가 아니라 앞장에서 걸려있던 시계를 향하고 있다. 그리고 댓돌 위에 오두마니 올라앉은 아기, 그리고 슬쩍 궁금했던 가게의 내부 모습. 원기소 광고, 지금이라면 분명 불량식품의 딱지를 면할 수 없을 온갖 알록달록 추억의 과자들, 설탕봉지, 파리채, 그리고 비닐우산...

이제 아기는 "넉 점 반 넉 점 반"을 외우며 간다. 그런데 아기의 시선은 그것과는 상관없다. 구복상회를 나오자 매어있는 닭이 맨 먼저 아기의 시선을 끈다.

아기는 오다가 물 먹는 닭 한참 서서 구경하고, "넉 점 반 넉 점 반" 외우며 어느새 발 아래 꼬물꼬물 개미에게 시선을 빼앗기고.. 어느 집 담장 옆에 접시꽃이 높다랗게 피어있다. 지금도 시골집에 가면 보이는 그런 풍경. 그집 지붕 위에 참새, 처마 밑에는 제비집. 여름이다. 그러나 볼 게 개미만일까? 한참 앉아 개미들이 줄지어 먹이를 집으로 옮기는 걸 구경하던 아기의 호기심은 어느새 날아다니는 잠자리에게로 옮겨간다.

잠자리는 어느새 분꽃으로 날아가고...

아기는다시 분꽃 따 물고 니나니 나니나... 아기는 분꽃에 정신이 홀려있지만 저 멀리 아기의 등 뒤로는 울타리처럼 둘러쳐진 조밭 뒤로 쑥스러운 연애를 하는 남녀의 귀여운 당시 모습, 개구짖게 떠들썩하니 농을 걸며 지나가는 교련복에 교모를 쓴 학생들, 도라지꽃 흐드러진 모습.. 아기는 그 모든 소란에도 불구하고 오롯이 분꽃에 정신이 팔린 모습이다.

해가 꼴딱 져버리도록 눈길 가는데로 따라다니다가 이제야 들어오는 길. 이제 보니 아기네 집은 구복상회랑 한 화면에 잡힐 만큼 가깝다. 실개천 하나 있고 그 위에 어른은 그냥 펄쩍 뛰어넘나들 수도 있을 정도의 다리 하나 놓여있다. 구복상회 왼쪽으로 있는 집. 대문 나와 호박넝쿨 얹힌 담을 따라 길 가는 아기를 우리는 표지에서부터 봤다. 그 한걸음의 길을 두고 아기는 그만 오는 길에 눈을 잡아채는 것들을 따라 멀고먼 길을 돌고돌아 세상나들이를 하고 온 셈이다. 가로등 알전구에 불이 켜지고 구복상회 지붕 위로 밤고양이가 뛰어다닌다. 아기를 기다린 듯 멍멍이가 반긴다. 아기를 곁눈으로 보는 구복상회 아저씨는 수리를 모두 마치셨나? ^^

잊지도 않고 "넉 점 반"^^ 손에는 분꽃을 담쑥 들고.

이미 저녁상이 돌고 있다. 엄마는 다 안다는 듯하다. 아기도 그냥 '나 심부름 했다'하는 얼굴. 천연스러움!

'그리고 밥을 다 먹고는, 아기는 이랬습니다.' 까지 보여주는 작가. 동시는 벌써 끝났지만 그림은 그 뒤까지도 보여주고, 그것이 동시의 간결한 아름다움을 거스르지 않고 푸근하다. 이렇게, 동시 한 편에 그림은 자연스러운 배경이 되어준다. 그 배경은 그 자체로 너무 소담스럽고도 살뜰하여 그새 잊고살던 동시도, 새로 만나는 그림도, 한꺼번에 둘씩이나 새로 얻은 느낌마저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넉 점 반 우리시 그림책 3
이영경 그림, 윤석중 글 / 창비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윤석중의 맛깔진 동시를 더 빛나게 하는 이영경의 넉넉하고도 꼼꼼한 해석이 돋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 나, 우리 - 해와 달이 들려주는 이야기
선안나 지음, 정현주 그림 / 샘터사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상의 왕국에 걸맞는 자수와 염색의 환상적 아름다움! 저녁과 새벽에 이야기를 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럼독 밀리어네어
대니 보일 감독, 데브 파텔 외 출연 / CJ엔터테인먼트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극적인 퀴즈쇼를 완성시키는 더 극적인 자말의 인생 퍼레이드! 스토리의 힘이 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기곰의 가을 나들이 - 3~8세 세계의 걸작 그림책 지크 26
데지마 게이자부로 글 그림, 정근 옮김 / 보림 / 199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한 권의 그림책을 처음 손에 들고 느꼈던 감동을 잊을 수가 없다. 그림책이 이럴 수도 있구나.. 그런 심정이었다. 그때만 해도 그림책을 보기 시작한 초기였는데 한 마디로 놀라웠다.  

데지마 게이자부로의 그림에 반해서 다른 여러 권의 그림책을 사서 보았고, 그림들은 여전히 아름다웠다. 내게는 여전히 이 그림책이 가장 맘에 든다. 주인공이 아기곰과 엄마곰이어서일까. 

목판화 기법인가? 채색도 되어있다. 목판화가 주는 느낌이 그렇듯 강렬하다. 그런데 말할 수 없이 섬세하다. 곰의 털 하나하나, 담쟁이 잎의 결 하나하나까지 생생하다. 아기곰이 처음 자기 힘으로 잡은 연어를 자랑스럽게 입에 물고 물에서 올라와 몸을 부르르 떠는 장면은, 지금도 이 책을 생각하면 맨먼저 떠오르는 장면이다. 검은 밤하늘, 달빛을 받아 표면만 노랗게 선으로 표현한 강가의 돌멩이들, 털이 바짝 선 아기곰의 등 뒤로 물방울이 튀고 있다. 수없는 물방울들은 그대로 밤의 별이다. 그 물방울들은 그 중에도 움직임까지 표현되어있다. 연어는 몸을 비틀며 비명을 지르는 듯하다. 그러나 그것은 자연의 한 순간, 강렬한 생명이 느껴지는 순간이기도 하다.  

저녁놀이 사라지고/ 달빛이 숲 속에 비칠 때/ 엄마곰과 아기곰은/ 강가로 왔습니다. 

"올까요? 정말 올까요?"/ 아기곰이 말했습니다./ "그럼, 틀림없이 올 거야." 

그림만 그리는 작가가 아니라 마치 시처럼 느껴지는 글도 쓰는 작가다. 겨울잠을 자기 전에 실컷 먹어둬야 하는 엄마곰과 아기곰은, 낮동안 잘 익은 머루 열매를실컷 따 먹고 이제 밤의 연어잡이를 기다리는 중이다. 아기곰에게는 움직이는 다른 생명체를 스스로 잡아 내 생명을 이어가야하는 엄중한 일이 기다리고 있고, 얼마나 설레는지 모르는 일이다. 산너머 검은 하늘에는 노란 초승달, 달빛으로 반짝이는 강가에 두 마리 곰은 설렘을 담아 기다리고 있고, 검고 푸른 강물에는 또 하나의 노란 달이 흔들리고 있다. 마침내 연어가 오고, 아기곰은 생애의 첫 경험을 시작한다. 쉽지 않은 그 일을 여러번 실패 끝에 드디어 성공하고 만족스럽게 배를 불린 아기곰이 문득 뒤를 돌아보니, 강물에 엄청나게 커다란 노란 물고기가 반짝이고 있는 게 아닌가! 그리고 첨벙! 

"엄마 엄마, 정말 커요. 정말 커다란 물고기예요." 

엄마곰이 다정하게 웃었습니다. "얘야, 그건 달빛이란다." 

그리고는 하루의 모험을 끝낸 아기곰의 편안한 잠. 아기곰은 별처럼 반짝이며 밤하늘을 유유히 헤엄쳐 가는 커다란 물고기의 꿈을 꾼다. 

 지은이는 홋카이도가 고향인 작가이고, 그는 여우라든지 올빼미라든지, 홋카이도의 자연을 주로 그림책으로 그려냈다. 그의 그림책에는 그를 태어나게 하고 키워낸 홋카이도에 대한 사랑이 담뿍 담겨 있다. 그의 그림책을 통해 나도 홋카이도를 사랑하게 되었다. 어른은 어른의 눈으로 이 그림책을 보고, 아이는 아이의 눈으로 이 그림책을 볼 것이다. 아이가 어릴 때 우리는 둘다 물론 이 그림책을 좋아했다. 아이는 아기곰의 입장에서 이 그림책을 보았을 것이다. 모험, 꿈, 사랑, 호기심... 내게는 시리도록 아름다운 홋카이도의 자연, 아기곰의 첫 모험, 너무나 멋진 그림과 부드러운 시어처럼 들리던 말들... 물론 그런 것들은 아이에게도 다 좋았을 것이다. 처음 본 지 십년이 되었지만 여전히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 주는 그림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