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화요일 비룡소의 그림동화 84
데이비드 위스너 글.그림 / 비룡소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이빗 위스너는, 이 그림책을 만들면서 혼자 얼마나 웃었을까? 맨 처음 나 혼자서 이 책을 쿡쿡 웃으며 보다가, 다 보고 나서는 작업실에서 그림을 그리면서 혼자 낄낄거리는 작가의 모습이 떠올라 또 슬며시 웃었다. 공들여 그림책을 만드는 작가야말로 그 그림책을 가장 속속들이 즐길 수 있지 않았을까.

이 그림책은 아이들과 내가 좋아하고 즐길만한 유쾌한 판타지를 담고 있다. 어느 화요일 저녁 여덟시, 그냥 못물 연잎위에 앉아 가불가불 졸고있던 개구리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나? 앉아있던 연잎이 마법의 양탄자인양, 둥둥 뜬 채로 개구리들이 날고 있다. 너나없이 흡족한 개구리의 표정에서 나도 모르게 마음이 열리고 내 마음도 둥둥 뜨는 것 같다.

그 한 밤, 개구리들은 마치 어린애 장난치듯, 그 영문모르는 유희를 맘껏 즐긴다. 어른들이라면 이런 횡재도 먼저 '대체 이게 뭔 일이야?' 하면서 분석하고 의심하기에 바빴을지도 모르지만 아이들이라면 무조건 그 횡재를 우선 즐기고 볼 테니, 양탄자 위의 개구리들은 그대로 아이들을 닮았고, 그래서 더 유쾌하다. 그 아이들에게 작가는 빨래줄에 널린 이불 조각으로 수퍼맨의 망토를 두르게 하기도 하고, 긴 혓바닥으로 리모콘을 누르게 하기도 하고 신나게 뒤집기 묘기를 하도록 해 주기도 한다.

웃음을 위한 장치는 처음부터 끝까지, 그림책 전체에 구석구석 들어가 있다. 밤참을 먹던 약간 띨띨해 보이는 아저씨가 잠옷, 가운 바람으로 열심히 설명하고 있는 아침 장면의 글자 없는 이야기는 압권이다. 물이 뚝뚝 흐르는 연잎을 도무지 이해하지 못할 듯한 수사관의 모습과 간밤의 진실을 알고 있지만 인간의 말을 하지 못하는 개의 속앓이까지도 담긴 듯하다. 그렇게 끝나도 유쾌할텐데, 그 뒤에 이어지는 다음 화요일의 장면은 그야말로 탄성이 터질 만큼, 멋지고 유쾌하다.

'다음 화요일, 저녁 7시 58분'이라. 그 한 마디로 이 이야기는 앞의 유장한 기쁨을 고스란히 한 번 더 되풀이하고, 더-더-이어가기까지 한다. 이 장면이야말로 이 책의 백미가 아닐까.

이렇듯, 이 그림책에는 여러가지 즐거움의 요소가 담겨져 있다. 판타지의 세계에다 넘치는 유모어가 있고, 아이들에게 작가가 선사하고픈 일탈의 유쾌함이 있고 그 모든 것을 담아내는 멋진 그림이 있다. 그림도 훌륭하지만 글자없이 모든 것을 담아내는, 이야기를 구성하고 배치하는 솜씨가 너무나 훌륭해서 그야말로 절묘하다는 생각이 든다.

다섯 살 아이부터 초등학교 아이들, 그림책을 즐기는 어른들에게 두루 보여주었는데, 어른들은 웃었고, 아이들은 왁자한 웃음과 더불어 한없이 만족한 얼굴들이었다. 그 만족해하는 얼굴들에 그림책 속 개구리의 장난기어린 얼굴이 겹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