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갈나무 투쟁기 - 새로운 숲의 주인공을 통해 본 식물이야기
차윤정.전승훈 지음 / 지성사 / 199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신갈나무 한 그루의 일생이, 어미 몸에서 떨어져 나온 한 톨의 도토리였던 그때로부터 펼쳐진다.

신갈나무 투쟁기라. 너무 멋지게 뽑은 제목이 아닌가. 이 책은 말 그대로 한 그루의 신갈나무의 치열한 삶의 기록이다. 읽다보면 그의 삶이 너무나 치열해서, 인간인 내 삶 앞에다가는 도저히 붙이지 못할 '투쟁기'라는 말이 얼마나 적확한지 거듭거듭 느끼게 된다. 제목에서부터 차윤정과 전승훈, 이 두 식물학자들의 사색의 품새가 읽힌다.

신갈나무에 대한 이들의 성찰을 돌아보자. 마지막까지 진정으로 단 한순간도 쉬어보지 않고 살아온 신갈나무가 이제 그 온갖 기쁨과 역경의 순간들을 놓는다. 그 장엄했던 몸이 쿵, 하고 쓰러지면 이제 그만... 그저 흙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나무의 지난 역사는 땅속으로 분해되고 그리고는, 다시 나무로 피어날지도 모른다. 그런 순간을 이들은 이렇게 성찰한다.

신갈나무에게 진정한 휴식은 이제부터이다. 어미 몸에서 떨어져 나온 순간부터 한순간도 생명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나무에게 휴식이란 곧 사라짐을 의미한다. 숨쉬는 것에서 양분을 모으고 물기를 가두고 양식을 만들고....... 나무는 부지런함 그 자체이다. 살고있는 동안은 부지런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은 생명을 부여받는 순간 지켜야 하는 의무였다.

나는 이 구절을 거듭거듭 읽었다. 내가 읽어온 신갈나무의 투쟁의 기록 갈피갈피가 너무나 장엄하게 느껴졌다. 한 순간도 생명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그것은 생명을 부여받는 순간부터 지켜야 하는 의무였다,고.

나는 숲과 숲 속의 나무를 유난히 좋아한다. 내가 나무를 보는 방식에는 전혀 소홀함이 없다. 그들은 정말 장엄하다. 나는 거의 언제나 그들의 삶에 경외감을 갖는다. 근원을 알 수 없던 그 경외감의 실체가 이 책을 읽는 동안 한 켜 한 켜 벗겨지면서 쌓였다. 나는 이 두 식물학자들도 반드시 그러했으리라 생각한다. 그들은 아마도, 그 경외감의 연원을 알고 싶었고, 알아냈고, 알리고 싶었으리라. 그들이 쓴 구절구절마다 그 마음들이 박혀있다. 그들이 생장을 위한 전략을 이야기할 때, 잎을 떨구고 질소와 인산과 칼륨을 회수하고 외투를 수선하는 겨울나기를 이야기할 때 그 박힌 마음들이 보석처럼 반짝인다. 그들은 식물학자로서만이 아니라, 나무의 진정한 친구로서 신갈나무의 삶을 헤아린다. 이 책의 형식의 독특함과 내용의 반짝임은 그들의 자세에서 비롯되는 듯하다.

그들의 뜻대로 나는 내가 갖는 경외감의 연원을 헤아리게 되었다. 그렇지만 나는 아직도 온전히 알 수 없다. 숲이 갖는 그 신비로움과 눈부심, 가끔씩 다가오는 두려움들의 의미를. 여전히 두터움으로 남는 이 의미들이야말로 어느 시인, 어느 음악가가 풀어줄 지, 어쩌면 하늘과 바람과 땅, 어쩌면 그 땅을 밟는 내 발과 다리가 그것을 풀어줄 지 내가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