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네의 정원에서 ㅣ 리네아의 이야기 1
크리스티나 비외르크 지음, 레나 안데르손 그림, 김석희 옮김 / 미래사 / 1994년 12월
평점 :
내가 좋아하는 리네아가 이번에는 모네의 정원으로 간다니. 리네아는 아파트 윗층에 사는 블룸 할아버지 댁에서 모네의 그림과 책을 보는 게 즐겁다. 이 책의 두 주인공 중 한 사람인 블룸 할아버지는 옛날에 정원사였단다. 내가 보기엔 리네아와 얼마나 죽이 잘 맞는지 모른다. (이런 할아버지가 가까이에 계시는 리네아는 얼마나 행복한가! 또 리네아 같은 아이를 옆에 두고 있는 할아버지는 얼마나 행복할까..)
보고싶다, 는 생각이 발전해서 드디어 프랑스의 모네 기념관까지, 모네의 생가까지 가게 된다. 그렇게, 설마 싶다가도 가만 생각하면 마음만 먹으면 가능하겠다 싶은 여행 이야기가 이 책이다. 이들은 아마 정말로 이 여행을 다녀와서 이 글을 썼겠지, 라고 철썩같이 믿는다.
'모네'를 만나러 가는 길. 모네의 그림이 많이 있는 마르모탕 미술관, 클로드 모네의 집이었던 기념관과 오랑제리 미술관을 다니면서 모네의 흔적을 밟는다. 그 과정에 생기는 소소한 재미있는 이야기들도 아주 중요한 이야기거리들이다. 예를 들어, 에스메랄다 호텔 이야기라든가, 뤼 강가의 멋진 소풍, 열차... 수리중이라 폐쇄된 오랑제리 미술관 입구에서 울음을 터뜨린 바람에 특별히 관장의 허락을 받아서 걸작을 보게 되는 일, 살아있는 모네의 후손과의 만남 등등.
집에 돌아와서 리네아는 언제나처럼 멋진 게시판을 만든다. 거기에는 파리 여행에서 가져온 그림 엽서, 입장권과 차표, 비둘기 깃털 한 개와 장 마리 툴구아 할아버지의 사진 들이 핀으로 꽂혀있다. 우리는 그 게시판의 사진을 볼 수 있다. 이런 방식의 기행문은 어른인 나뿐 아니라 리네아 또래의 아이들에게도 정말 좋은 자극이 되리라 생각한다.
또다른 리네아 이야기인 꼬마정원을 보고 나와 내 딸, 아들이 함께 했던 일들이 떠오른다. 올여름 방학이 되면 우리 가족도 이런 여행기를 한번 만들어보면 어떨까, 너무너무 재미있는 여행기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정말 사랑스런 리네아, 모든 아이들이 리네아가 누리는 것을 누릴 수 있다면 얼마나 그들의 삶은 반짝일까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