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 아이는 히르벨이었다 ㅣ 일공일삼 13
페터 헤르틀링 지음, 고영아 옮김, 에바 무겐트할러 그림 / 비룡소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페터 헤르틀링의 책으로는 세번째로 읽은 책이었는데 역시 그이의 글이로구나, 라는 생각이 든다. <할머니>와 <욘 할아버지>, 그리고 <히르벨>. 그리고 결코 지나친 감상에 빠지지 않는 담담한 목소리.
이 책 <히르벨>에서는 병원과 아동 보호소를 오가는 약한 아이 히르벨을 통하여, 그런 아이들이 있다는 것과, 좀 더 자세히 히르벨의 이야기를 함으로써 어떻게 하면 히르벨과 같은 아이가 더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지를 함께 생각해보게 된다면 좋겠다는 희망을 말한다.
분명히 히르벨은 우리같은 일반인의 눈으로 보면 건강하지 못하고 오갈 데도 없는 아이이다. 하지만 분명히 우리같은 일반인과 다른, 자신의 독자적인 삶의 양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히르벨은 양떼들에 둘러싸여 아프리카를 느끼고 온순한 사자들에 둘러싸인 채 편안한 잠을 잔다. 아이들을 괴롭히고 싫어하는 쇼펜슈테허를 몇번인가 계획을 세워 곯려먹는다. 다시는 자기를 함부로 하지 못하도록...
놀랍도록 아름다운 목소리를 가진 히르벨은, 자신만만한 오르간 연주자 쿤츠씨에 도저히 적응하지 못한다. 히르벨의 노래는 오르간 반주가 필요없이, 오직 히르벨의 목소리만으로 완성된다. 히르벨이 그토록 적응하기 어려워했던 일들은, 적응하지 않음으로써 간단히 해결되어버린 것이다. 다행히 사람들은 끝까지 적응시키려 하는 실수를 범하지 않았다!
히르벨은 다정한 카룰루스 의사선생님에게 양아들로 가고 싶어서 여러가지 노력을 한다. 물론 세명이나 되는 양 아이들을 이미 데리고 있는 다정한 의사선생님은 더이상 히르벨을 받아들일 처지가 아니다. 그것을 깨닫는 순간 히르벨은 더이상의 꾀병을 포기하고만다..
어느날, 머리가 깨질 듯이 아파 집을 나선 히르벨은, 결국 경찰관에 이끌려 병원으로 간다. 그리고 또 다른 병원으로 옮겨지고... 보호소의 남은 아이들은 히르벨 이야기를 한다. 한참 시간이 지날 때까지도 히르벨을 귀여워 했던 마이어 선생님은 히르벨을 기억한다. 마음 속으로 '그애는 지금 어떻게 되었을까?'하고 생각한다. 그것이 이 책의 끝이다.
그리고 덧붙여지는 저자의 후기. 저자는 아이들의 질문에 대답하는 방식으로 이 책에 대해 이야기한다. '사람들은 히르벨 같은 아이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진정으로 따뜻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관심을 가져야 한단다' 라고. 그런 아이들에게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그런 아이들은 존재하지 않는 거나 마찬가지라고... 이 책을 덮으며 나도 저자와 같은 마음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