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적의 딸 로냐 ㅣ 시공주니어 문고 3단계 11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글, 일론 비클란드 그림, 이진영 옮김 / 시공주니어 / 199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 참, 재미있었다. 린드그렌의 작품들을 읽다 보면, 참 명성이 자자한 작가는 그냥 그 명성을 얻는 것이 아니구나, 작품으로 평가받을만 하구나,하는 생각이 든다. 이책, <산적의 딸 로냐>를 좋아하지 않을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혼잡한 세상을 훌쩍 벗어나 온갖 상상의 신기한 생물들(회색난장이, 비트로나, 룸프니스, 요물..)이 예사롭게 등장하는 깊은 숲속 요새에서, 아주 특별한 방식으로 살아가는 두 무리의 산적들, 게다가 로미오와 줄리엣인 양 원수의 집안의 자식들, 이 정도만으로도 온갖 흥미로운 이야기가 넘친 것 같다. 그러나 그뿐일까? 절대!!
숲을 사랑하는 숲의 아이 로냐와 비르크, 사려깊고 순수하고 마음이 따뜻한 아이들의 모습이 책을 읽는 내내 얼마나 나를 흐뭇하게 해 주었는지 모른다. 어찌할 바 없는 원수의 집안이건만, 아이라고는 그들 단 둘 밖에 없는 환경에서 그들은 필연적으로 가까와진다. 게다가 숲의 마음을 가진 아이들이라!
두려움을 가지고는 가까이할 수 없는 숲과, 험난하고 외딴 그들의 삶터인 요새에서 살아가는 그들은 서로의 생명을 구해줄 만큼의 강인함을 지녔다. 그 강인함은 나중에 로냐와 비르크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어른들의 반목을 훌쩍 벗어나, 숲에서의 생활을 택할 수 있게 하는 버팀목이기도 하다. 역시나 자연의 아이들, 로냐와 비르크는 반목, 질시, 불화, 투쟁 이따위에 대해서는 알지도 못하고 알고 싶지도 않다.
설령 알게 되더라도 그들은 그 부조리한 관계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사랑하는 아버지일지라도! 로냐와 비르크는 사랑하는 그들의 터전, 그들의 요람을 떠난다. 그들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본능적인 사랑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부조리한 삶의 방식을 전면적으로 부정한다. 우리는 맹목적인 증오를 원치 않는다고.
로냐가, 산적이 어떤 삶을 사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처음 알았을 때, 그 아이는 이렇게 묻는다. '그러면 자기들의 것을 빼앗긴 사람들이 괴로와 하지 않나요?' 물론 그렇지! 라고 하자, 로냐는 자기가 더이상 그런 삶을 받아들일 수 없음을 깨닫는다. 말할 수 없이 다감하고도 사려깊고, 야생마처럼 자유롭고, 숲을 휘도는 폭포만큼 강인한 아이, 로냐. 그 아이들을 따라다니며 들여다 보는 것이 너무나 즐겁다.
두 산적 패거리는 아이들로 하여 자기들의 길을 튼다. 결투 끝에 화합의 방식을 찾고, 함께 공존의 길을 간다.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자신들의 길을 가겠다고 선언하고... 그리고 봄이 온다. 푸른 덤불마다 생기가 넘치고 아이들도 생기가 넘친다. 재잘대는 새소리, 흐르는 시내의 소리, 여기저기서 들리는 거친 봄의 소리마냥 로냐와 비르크도 거친 봄의 아이들이다. 로냐는, 숲 속 저 멀리멀리까지 울려 퍼질만큼 크게, 봄의 함성을 지른다.
린드그렌의 책에 도맡아 그림을 그린다는 비클란드가 표현한 로냐와, 숲과, 숲 속 생물들과 곰굴... 들은 얼마나 이 책을 더 빛나게 하는지 모른다. 작가와 삽화가, 이 두사람들에 힘입어, 산적들도 사랑스럽고, 로냐의 아빠인 거친 산적 두목 마티스와 현명하고 다정한 엄마 로비스, 말라깽이 페르까지도 싱싱한 생명을 얻고 살아나는 것 같다. 읽는 내내, 어떻게 이 거친 산적들의 이야기가, 이토록 우아하고도 고귀하게 들리는지 믿기가 어려울 지경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