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깡통 소년 - SF 미스터리, 4단계 ㅣ 익사이팅북스 (Exciting Books) 3
크리스티네 뇌스틀링거 지음, 프란츠 비트캄프 그림, 유혜자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5년 3월
평점 :
깡통소년이라.. 작가의 상상력이란 이런 것이라는 느낌이 들게 신선하다. '어른스럽다는 것'과 '아이답다는 것'을 작가인 크리스티네 뇌스틀링거는 싱싱하고 호기심 가득한 이야기로 풀어내면서 어른인 나를 생각해보게 만들었다. 나 스스로 바톨로티 부인처럼 전혀 모범적인 어른이 아니다( 그래도 작가가 바톨로티 부인에게 호감을 보여주어서 다행이다 싶었다). 아이처럼 감정이 들쑥날쑥하고 참을성 없고, 하고싶어하는 것들은 온갖 새롭고 반짝반짝하는 것들로 가득차고 집의 일 같은 것은 자주 팽개쳐지곤 한다... 그래도 어른을 유지하고 사는지라 또 천상 아이들인 우리 딸 아들과는 또 부딪친다.
정말, 이 책의 작가가 '자 봐라, 어떤지를--' 하는 듯 보여주는 두 사람, 어른의 모습을 한 어린아이 바톨로티 부인과 아이의 모습을 한 어른 콘라트는 각자 두 어른과 아이의 세계에서 받아들여지지를 않는다. 물론 작가는 바톨로티 부인과 같은 아이다운 천진함에 더 점수를 주는 듯 하지만, 어쨌든 아이가 아이답지 않거나 어른이 어른답지 못하면 살기가 힘든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정말, 어른들은 다소 어른같은 아이를 원하고 아이들은 다소 아이같은 어른들을 원한다. 아마 그 공유 부분이 많아질수록 어른과 아이의 교류는 깊고 잦아질 것 같다.
바톨로티--- 키티 에곤---- 콘라트 의 관계는 작가가 그 하나씩의 모델로써 설정해둔 것 처럼 정교하다. 어른처럼 생각하는 어른인 에곤과 아이처럼 생각하는 아이 키티는 처음에 잘 어울리지 못한다. 그러나 바톨로티와 키티는 잘 알아주고, 에곤과 콘라트도 잘 통한다.
깡통소년이라는 상상력을 발휘한 작가는 그 상상력으로 이야기를 끌어가면서 (이 줄거리도 아주 흥미진진하지만... 내게는 오히려 어른과 아이 구조가 더 정색을 하고 다가왔다) 아마도 이 어른과 아이의 관계를 다루어보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완벽한 어른 완벽한 아이가 어디 있으랴. 우리 모두 다소 아이같은 어른이고 우리 아이들 또한 다소 어른같은 아이들 아닌가.
바톨로티와 콘라트가 사랑으로 엮어지고 서로를 받아들여가는 것을 보면서 그 서로 다가서기 어려울 듯 싶었던 관계의 실마리가 행복하게 풀리는 것으로 느껴져서 반가왔다. 우리 집에도 바로 맞닥뜨린 현실이니까! 뭐 이것저것 끄덕이게 했던 점 말고도 이야기 만으로도 충분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어서 어린 아이들은 아이들 나름으로 아주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