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삶, 사랑 그리고 마무리
헬렌 니어링 지음, 이석태 옮김 / 보리 / 199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저 가을 산을
어떻게 혼자 넘나
우리 둘이서도
그렇게 힘들었는데.

7세기 중국에서 씌어진 시로 이 책을 시작하는 헬렌 니어링. 53년간 함께 살았던 스코트가 조용히 숨을 거둔 뒤 헬렌에게는 이 시가 떠올랐을까. 그랬을테지만,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꼭 그런 것 만은 아니었겠어.. 라는 생각이 든다. 그들 둘이 그토록 조화로운 삶을 살면서, 적어도 마음은 얼마나 평화로웠을까. 헬렌도 그렇게 썼다. '스코트가 떠났으므로 나 홀로 살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나는 외롭지 않았다. 고요한 생활과 고독을 즐겼으며, 걱정해 주는 친구들의 잦은 전화와 방문이 번거롭기까지 했다.'

헬렌과 스코트는, 서로 조화로왔고, 각자 올바르게 살았으므로 그들은 최상의 행복을 누렸을 것이다. 그중에서도 인상적이었던 것은 스코트의 올바름이었다. 아마도 그 부부를 이끌어갔고, 삶의 여러 힘든 순간을 어떤 원칙으로 이끌어 나가는가를 명확히 알고 있었고, 심지어는 죽음의 순간마저도 이 세상에서 가능한 가장 적절한 방식을 알고 고요히 택할 수 있었던 스코트야말로, 참으로 이 세상에 와서 한 생을 살다 가는 것이 어떠하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 아니었던가. 책의 말미에서 볼 수 있는 그의 위엄을 간직한 죽음은, 그의 삶의 행적 만큼이나 진실했고 올바른 선택이었다. 책의 제목이 어째서 '사랑하는 것'과 '떠나는 것'인지 절로 공감이 갔다.

도서출판 보리에서, 자연을 닮은 색으로, 재생지로 만든 책의 모양새도 그 내용에 걸맞게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었다. 헬렌과 스코트가 누렸던 그러한 자유와 충만의 느낌을 내 안에서 느끼는 것은 분명 힘들겠지만....그들의 삶을 보는 것만으로도 내 마음은 조금 더 맑아지는 것 같았다. 순간의 느낌일지도 모르겠지만, 내 인생의 끝에서 언젠가 맞이할 죽음의 방식을 생각할 때, 작고 환한 불 하나가 켜지며 그 순간을 제시하는 것만 같았다. 누군들 그런 순간을 원치 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