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의 빨간 외투 비룡소의 그림동화 75
애니타 로벨 그림, 해리엣 지퍼트 지음, 엄혜숙 옮김 / 비룡소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이 모두를 가난하게 했던 때, 새 외투를 장만해야 했던 안나의 이야기가 '이 이야기는 실제 있었던 이야기입니다'라는 설명과 함께 진솔하게 펼쳐진다. 작아진 파란 외투를 대신할 안나의 새 외투를, 돈이 없어 그것을 살 수 없던 엄마는 대체 어떻게 마련할 수 있는 걸까? 다행히 그 때 엄마에게 좋은 생각이 떠오른다. 그리고 이제 안나의 새 외투를 위한 길고도 즐거운 기다림과 노력이 시작된다.

농부 아저씨께 양털을 받는다. 엄마는 금시계를 드리고. 물레질하는 할머니께 양털을 실로 만들어주기를 부탁한다. 엄마는 램프를 드린다. 안나가 빨간 외투를 원해서 안나와 엄마는 숲에서 산딸기를 따서 실을 물들인다. 옷감 짜는 아주머니가 이 빨간 실을 옷감으로 짜 준다. 엄마는 자기의 석류석 목걸이를 준다. 재봉사 아저씨는 안나의 외투를 만들어 주신다. 엄마는 멋진 도자기 찻주전자를 드린다.

여느 그림책에서도 이런 이야기 구조는 많이 등장한다. 필요한 것을 하나씩 하나씩 이루어 가는 구조는 어쩐지 아주 익숙하다. (신데렐라 이야기에서 요정 할머니가 호박으로 마차를, 생쥐로 마부를, 또 도마뱀으로, 누더기 옷으로.. 등등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결국 하나의 완성품이 준비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그런 익숙한 이야기 구조이지만 커다란 차이가 있다. 내게는 이 차이가 바로 이 그림책의 이야기를 더없이 미더운 것으로 만들어 주었다.

이 모든 것들은 그냥 주어지는 것들이 아니라 아주 현실적인 시간과 노력, 물물교환까지를 필요로 한다. 안나와 엄마는, 양이 털을 깎을 수 있는 봄이 되기를 기다린다. 그냥 기다리나? 아니다. 일요일마다 두 사람은 언젠가 양털을 주어 외투를 만들 수 있게 해 주는 양을 만나러 간다. 양들에게 '털은 잘 자라니?' 하고 인사하고는, 깨끗하고 맛있는 마른 풀들을 먹이고, 꼭 껴안아 준다. 크리스마스 때는 종이 목걸이와 사과를 선물로 주기까지 하고, 캐럴도 불러 준다......(정말 놀라운 이야기!!)

아마..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가 아니었을까. 내게는 그렇게 생각되었다 (물론 앞에서 실화라고 밝혔지만, 부분적인 픽션은 혼재되기도 하는 법이니까). 어쩐지 누군가가 생각해 낸 이야기가 아니라, 정말 안나와 엄마는 그 양들에게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고 그런 생각은 내 마음을 무지무지 흔들어 놓았다. 정성을 들이고, 진심으로 고마운 마음을 가진다는 것... 물론 공짜도 아니고 농부 아저씨께는 금시계를 드린다. 하나의 물물 교환에 불과할 수도 있는 것을 , 안나와 그 엄마는 기다림의 한 부분을 아름다운 시로 승화시켜버린다. 양털을 깎을 때도 물론 이렇게 묻는다.

'양들이 아파하지 않을까요?'

이것은 안나와 그 엄마가 거치는 여러 과정들 중의 하나일 뿐이다. 그들은 계절이 바뀌기를 기다리고, 다음 과정을 맡아 줄 사람들을 찾고, 그러면서 천천히 외투를 위한 준비가 되어가는 과정을 겪는다. 그리고 그것의 진행과정 만큼이나 내 마음이 설레기 시작했던 것 같다.

그리고 크리스마스 이브. 안나네 집에서는 늘 해왔던 것처럼 작은 파티가 열린다. 올해의 특별한 손님은? 물론 올해의 특별한 선물인 안나의 빨간 외투를 만들어 낸 모든 사람들이다. 그런 과정을 거친 그들 모두에게 빨간 새 외투를 입은 안나는 얼마나 예뻤을까?
크리스마스 날, 안나는 양들을 찾아가 '고마워'라고 말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정말로 그랬을 것 같다)

글쓴이가 서문에 붙인 이야기가 새삼 마음을 울린다. <새 외투를 몇 달 동안이나 끈덕지게 기다렸고, 25년이나 흐른 뒤에 나에게 그 외투를 보여 준 잉게보르크 슈라프트 호프만에게. 처음에는 아무 것도 없었지만, 인내심과 결단력으로 마침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선물을 마련하여 딸에게 준 어머니 한나 슈라프트를 그리며.>

게다가, 아니타 로벨이 아니라면 누가 이렇게 그릴 수 있었을까 싶은, 부드럽고 고요한 그림들은 이 그림책을 더욱 깊게 만들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