셜록 홈즈 전집 4 (양장) - 공포의 계곡 셜록 홈즈 시리즈 4
아서 코난 도일 지음, 백영미 옮김 / 황금가지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셜록 홈즈, 아, 요즘 들어 이렇게 완역본으로 계속 만날 수 있어서 진짜 즐겁다. 네째 권까지 읽었는데 내게는 이 책이 제일 마음에 들었다. 사건의 전개보다도, 코난 도일이 자주 그렇게 하듯, 역사적 사실에 버무려진 개인의 과거사가 더욱 흥미로왔다. 이 책에서는 특히, 홈즈를 능가하며 다른 한 축을 이루는 주인공 더글라스의 개인사와, 코난 도일이 배려한 기막힌 반전의 맛이 한참 여운을 남겼다. 게다가 모리어티 교수와의 운명적인 만남을 암시하는, 장막을 꿰뚫어보는 홈즈의 이글거리는 눈으로 이 책은 난다. 책의 말미에서도 팽팽한 긴장을 느끼게 하는 작가의 써비스를 나는 맘껏 즐겼다.

셜록 홈즈, 완역본으로 만난 그는 어릴 때 보았던 그냥 명탐정이 아니었는데... 새로 만난 그가 너무 마음에 든다. 그의 기괴함에 끌린다고나 할까. 그는 느슨한 신경을 견디지 못한다. 알고보니 이완의 무력감을 견디지 못해 주사를 맞는다 (1권에서 본, 내게 정신이 번쩍 들게 한 장면). 상습적 마약 중독자! 그렇게라도 신경의 고양을 탐닉한다. 그러다 사건이 들어오면, 완전히 팽팽히 당겨지는 활 시위처럼, 그야말로 홈즈는 팽팽히 당겨진다. 아, 한숨이 나올 만큼 매력적인 특성이 아닌가 말이다. 글쎄, 그가 그런 정신 상태로 행복한지 불행한지는 잘 말 할 수 없지만...어쨌든 내가 그런 인간의 특성에 감탄의 한숨을 쉬었다는 것은 사실이다. (이렇게 쓰다보니 내가 약간-- 비정상적인 정신 상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조금 든다)

게다가 아마도 코난 도일은 수시로 이렇게 생각하지 않았을까? '어어, 내가 꿈에 셜록 홈즈가 된 것인가, 아니면 셜록 홈즈가 코난 도일이 되는 꿈을 꾸고 있는 것인가?' 아마도 자주 그런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싶게 작가의 이력이 홈즈를 연상하게 해서, 홈즈가 더이상 가상의 인물로만 여겨지지 않는다는 것이 이 책의 색다른 보너스라 하겠다.

프랑스에서 자존심을 걸고 신예 작가인 모리스 르블랑에게 요청해서 괴도 신사 뤼팽을 만들어 냈다고 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뤼팽은 사실 얼마나 출중한가!) 어릴 때 홈즈의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뤼팽의 이야기를 읽고 또 읽곤 했었다. 그때도 그 괴도 신사는 지나칠 정도로 멋있었다. 이거야말로 불세출의 인간이 아닌가! 하면서 말이다.

그때가 십대 초반이었으니 지금까지 거의 이삼십년이 지났다. 지금 그 둘을 반듯한 모습으로 다시 놓고 보니 정말 감회가 새롭다. 인생을 이끌어 가는 그 중요하다는 가치관이나 호오도 세월의 두께를 더하면서 자꾸만 바뀌는 모양이어서. 그때 그렇게 맘에 들었던 뤼팽이라는 완벽하게 멋있는 신사의 모습보다는, 지금 보는 어쩐지 불완전하기 짝이 없고, 좀 유치하다 할 만큼 극적인 과시를 즐기고, 어떤 분야에서는 철저하게 문외한인 그토록 불완전한 홈즈의 모습이 지금 더 얼마나 끌리는지 모른다. 참, 세월이 만들어내는 마술같은 변화가 당혹감과 함께 짜릿한 즐거움을 준다. 역시 인생이란 살아보기 전에는 몰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