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 다치바나 식 독서론, 독서술, 서재론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언숙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특별한 책이다. 아마 특정한 부류의 사람들을 사로잡고, 절로 '어, 독서에 관한 한 내 스승이 여기에 있었네!'라고 외치게 했음직한 책이었다. 법률, 우주, 뇌 등등 전문성을 요하는 분야에까지 책임있는 태도로 취재, 조사 연구해 가는 태도는 정말 신뢰가 갔다. 게다가 그가 관심을 가졌던 분야의 다양함에도 굉장한 동지 의식이 느껴졌다. 프로 독서가와 햇병아리 아마츄어 독서가로 갈리겠지만.

그의 독서에 대해 듣다보니 내 독서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었다. 나 자신 다양한 분야에 대해 끊임없는 관심이 생기는 바람에 온갖 종류의 책들을 접하게 된다. 즐거워서 읽고 호기심에서 읽고, 그렇게 읽고 읽고 또 읽다보니 나름대로 책읽기에 대해 할 말이 생긴다.

하도 여러 분야의 책을 읽다보니 뭔가를 이해하는데 다소 종합적인 판단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마치 창고 안에다 많은 정보를 차곡차곡 쟁여놓고 언제 어떻게 그걸 꺼내 써야 되는지 알고 있는 상태라고나 할까. 이런 상태는 내 경험으로는 아주 자주 유용하게 쓰인다. 유용하면서도 즐겁다. 하여, 내가 읽어가는 분야도 점점 늘어간다.

세상과 그 이치에 대하여, 타인에 대하여, 정신적 영역에, 아름다움에 대하여 등등 ... 많은 것들이 궁금하고, 그것을 충족시켜가는 과정이 바로 내 독서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면 그렇게 알게 된 것들은 또 자주 유용하게 쓰인다. 다치바나가 이렇게 말하는 것이 정말 공감이 간다. 인간의 사회를 변화시켜온 것은 인간의 지적 욕구이다.

인간의 지적 욕구를 살펴 보면 (여성 주간지적 욕구를 제외하고) 실용적인 지적 욕구와 순수한 지적 욕구가 있다. 언뜻 보면 실용적 지적 욕구가 문명 사회로 이끄는 동인인 것 같지만, 실은 표면적인 측면일 뿐 우리 인류를 보다 깊은 곳에서 움직여 온 것은 보다 원초적인 순수한 지적 욕구, 즉 어찌되었든 알고싶고 조금 더 알고 싶다는 근원적인 욕구였다고 생각한다.

순수한 지적 욕구를 통해 알게 된 것을 어떻게 활용하면 어떤 이익이 발생할까와 같은 실리성은 그 뒤에 따라오는 것이고, 언제나 선행되었던 것은 실리는 뒷전으로 한 순수한 지적 욕구였다. 다치바나식 독서론을 읽으며 그의 말에 무한한 공감을 느꼈고 커다란 즐거움을 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