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산에서
진 크레이그 헤드 조지 지음, 김원구 옮김 / 비룡소 / 1995년 4월
평점 :
절판


같은 작가의 책인 <줄리와 늑대>를 아주 흥미롭게 읽어서 다시 이 책을 찾아 읽었다. 그냥 동화, 라고 생각했다가 아주 새로운 느낌을 받았다. 어디론가 멀리 떠나서 혼자 사는 것을 꿈꾼다는 것. 누구라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테마일 것이다. 하지만 꿈만 꾸는 것일 뿐이다. 덜컥 시작했다가도 주저앉아버리는 것이 일상인 걸.

작가인 진. C. 조지도 어릴 때 그런 꿈을 꾸었고 어느날 출발했다가 40분 뒤에 돌아왔다고. 그이의 딸도 어느날 숲으로 도망가겠다고 나섰다가 곧 집으로 돌아왔다고. 그리고 이 책 속의 샘 그리블리는 정말로 출발하고, 일년 정도를 혼자 숲에서 살아간다. 그의 숲에서의 생활이 어찌나 이 책에 생생히 살아있는지 이것이 실화인지 허구인지 하는 생각을 하게 될 정도이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이것은 실화다, 라고 생각하고는 그곳을 찾아 나서기도 했다 한다.)

도망가는 꿈을 꾸는 것과 실제로 도망가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도망을 실제로 안 가봤으니 샘의 숲에서의 생활이 정말 가능한 것인지 작가가 만들어 낸 허구에 불과한 것인지 정확히 판단하긴 어렵지만, 이 책을 읽다보면... 이런 생각이 든다. 어째서 불가능하단 말인가?

게다가 왜 우리들은 일생에 한 일년이라도 이렇게 살아 볼 수 있도록 만들어 놓지 않았단 말인가? (일생에서 일년이라면 겨우 1/60 일 뿐인데.) 어째서 학교생활, 교회, 결혼, 직장.. 이런 것들은 척척 제도화 되어있다시피 하면서 우리의 인생에서 한 일년 정도는 이런 홀로인 시간, 자연과의 절절한 교감의 시간을 필수적으로 거치도록 해놓지 않았단 말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 모든 사람들이 마치 학교 과정을 거치듯 이런 과정을 거치게 된다면, 이 지구상에 널려 있는 너무나 많은 문제들중의 여러 가지가 지금은 더이상 문제가 아니었을지도 모른다.

샘은 어쨌든 내 꿈의 일부를 성취시켜주었다. 나는 숲으로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책을 읽는 동안 나는 줄곧 솔송나무 집 속을 들락날락 거리는 꿈에 젖어 있었으니까...언젠가 숲으로 들어가게 될 때, 분명히 숲은 내게 마치, 샘 그리블리를 그 안에 품고 있는 듯 여겨질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