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씨방 일곱 동무 ㅣ 비룡소 전래동화 3
이영경 글.그림 / 비룡소 / 1998년 4월
평점 :
단연 압권이다. 이 그림책을 처음 본지 이년이 지났지만 아직 (어떤 분야에서) 이만큼 나를 사로잡은 그림책을 만나지 못했다. 그냥 그림책이라는 분야를 정말로 좋아해서, 아이들에게 보여주자는 마음도 있지만, 그보다 더 내가 보고싶어서 그림책을 구입해서 보다보니 오백권은 족히 넘을 듯싶은 그림책들 중에서도, 이만한 내공이 실린 그림책을 만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고 이그림책을 만나서 나는 정말 행복했다.
어릴 때 학교에서 배운 <규중칠우쟁론기>가 이렇게 재밌는 이야기였던가? 빨강두건 아씨의 바느질 바구니 안에 이렇게 생동감 넘치는 이야기가 고물거리고 있었던가? 서로 내세워 자기를 중요하게 여겨주라는 공명심, 그 고물거림에 역정을 내는 큰어른인 빨강두건 아씨, 그러자 실쭉 샐쭉거리며 삐끼는 모습들.--이부분의 묘사는 정말 이 그림책의 백미이기도 하다.
성질 급한 가위 색시는 방을 뛰쳐 나가려 하고 역시 노장인 골무 할미가 간신히 그 팔을 붙들어 말린다. 요조숙녀 청홍각시는 성질을 못 이기는 듯 이빨로 청홍실은 잘근잘근 물어뜯으며 분을 삭이고 있다. 막내 격인 인두 낭자와 소심한 다리미 소저는 그저 신세야, 하고 다리를 뻗고 엉엉 운다. 역시 새침떼기 바늘각시는 남들에게 그런 모습을 안 보이려는 듯 아주 뒤돌아 앉아 고개만 외로 꼬고 있다. 자부인은 이불을 뒤집어쓰고 누워버리는데 그 큰 키를 이불이 감당하지 못해 버선발이 쑥 나와있고 이마도 가리지 못한다.
이런 장면 뒤에 빨강 두건 아씨는 두목 노릇도 그를 받쳐주는 졸개들의 공이로구나, 하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는 꿈을 꾸면서 허우적거린다. 역시 졸개들은 싹 무시당했던 것을 잠시 잊어버리고 위기에 몰린 두목을 구해내고 두목은 졸개들을 바라보고 아이고나, 하면서 그들의 공을 인정한다. 얼마나 절묘한 이야기인가!!
원래 이야기 구조가 그렇게 재밌고 소소한 즐거움을 주기도 하지만, 이 책을 만들어 낸 이영경씨야말로 대가의 솜씨를 지녔다. 그림새, 색깔, 그 여덟 인물들의 면면들을 표현해내는 섬세함, 아름다운 우리의 옛 도구들을 살짝살짝 배치해 보여주는 배려까지, 게다가 그 표정들의 분방한 변화까지 너무나 섬세하면서도 시원시원해서 정말 감탄을 연발하게 만든다.
공연히 우리나라 그림책을 조금씩 아랫잡아 보는 화가인 후배에게 이 그림책을 보여 주었더니 완전히 입이 쑥 들어가버렸다. 이런 그림책은 본 적이 없다나! 게다가 요즘 내게 회화를 가르치고 있는 착한 미국인 미쉘에게도 언젠가 이 그림책을 내 힘으로 영역하여 소개하리라는 꿈을 갖게 되었다. 그 집에 가보면 우리 집보다 더 많이 한국의 고물들이 지천으로 굴러다니는데 그이가 이 책을 얼마나 좋아할까 생각하면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진심으로 이 그림책을 만나게 해준 이영경씨와 비룡소에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