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고백
김려령 지음 / 비룡소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물지 않는 상처란 없다, 지금은 가시를 뽑아내야 할 때
- 김려령, 『가시고백』을 읽고

 

 누구에게나 비밀은 있다,는 문장은 지극히 상투적이지만 진실이다. 쉽게 털어놓지 못하는 혼자만의 비밀 혹은 고민. 가시처럼 마음에 콕 박힌 이것은 틈만 나면 생채기를 낸다. 곪아버리기 전에 얼른 뽑아버려야 하는데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오히려 더 아무렇게나 방치되는 마음속의 비밀. 가시처럼 박힌 말 못할 고민에 오늘도 마음이 멍들고 있다면 김려령의 신작 『가시고백』을 읽어보는 건 어떨까. 저마다의 가슴에 맺힌 가시 같은 고백을 마침내 토해내고 난 후 경험하게 되는 홀가분함의 실체와 마주하게 된다. 물론 새살이 돋아날 때까지 얼마간은 좀 더 아프겠지만 그쯤이야 뭐 대수랴. 일단 뽑고 나며 다음에 다시 가시가 박혀도 뽑아낼 수 있는 용기 혹은 요령 같은 것이 생기기 마련. 날아오를 듯 마음이 가벼워진다. 슬며시 웃게도 된다. 『완득이』를 통해 김려령 작가의 신작을 기다리고 있던 독자라면 기대해도 좋을 듯하다. 이 이야기는 대한민국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의 손에서 마침내 ‘알’을 깨고 ‘병아리’로 거듭난 ‘아리’와 ‘쓰리’를 통해 화해를 모색하고 있는 조금은 엉뚱한 설정이지만 그래서 더 뜨끈한 뭔가가 느껴지는 그런 소설이다.

 

 정교하고도 빠른 손놀림을 타고난 해일은 머리보다 몸이 먼저 알아서 움직이는 자신을 직업 도둑이라 칭한다. 사랑만 듬뿍 받고 자랐을 것 같은 외동딸이지만 친아버지와 새아버지 사이에서 지란은 뼛속까지 외롭다. 줄곧 반장만 해온 다영은 다른 아이들 챙기기에는 일등이지만 정작 자신에게 찾아온 사랑이란 감정에는 서툴기만 하다. 입이 좀 거칠긴 해도 뒤끝 없이 쿨한 진오는 POP글씨 쓰는 나름 섬세한 남자다.
 
 독사과를 손에 쥔 채 오늘도 타깃을 찾아 치밀한 모함을 일삼지만 결국 자신만 홀로 남게 되는 거울 공주 미연. 군대를 기점으로 천재에서 동네 바보형 쯤으로 전락해버린 감정설계사를 꿈꾸는 해철. 그리고 유정란에서 마침내 병아리로 재탄생한 ‘아리’와 ‘쓰리’. 병아리를 꿈꾸는 아들을 응원해주는 (대한민국에 몇 안 될 것 같은) 부모님과 병아리의 탄생과 성장을 지켜봐주는 담임선생님까지. 김려령의 신작 『가시고백』은 유쾌하지 않은 것 같으면서도 유쾌하고, 모난 것 같으면서도 모나지 않은 경쾌하고도 진중한 소설이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고민 중 단연 상위권에 랭크되는 공부(성적) 혹은 교우 관계(왕따) 보다는 저마다의 가슴에 지니고 있는 ‘상처’에 주목하고 있는 소설. 그 ‘상처’는 놀랍게도 ‘생명체’를 매개로 서서히 ‘치유’되기 시작한다. 생명체란 바로 병아리 아리와 쓰리(인 동시에 등장인물 각자)다. 이 두 마리의 병아리는 잠정적으로 백숙 혹은 후라이드가 될 위기에 처해있으면서도 해일 진오 지란이라는 나름 끈끈한 삼총사 구도를 탄생시킨다. 그들만의 비행 그들만의 의기투합 그들만의 눈물을 통해 마침내 공유되는 해일의 비밀스런 가시 고백. 이 뜻밖의 고백이 삼총사의 우정을 갈라놓을지 더 견고하게 만들어 줄지는 아직 책을 읽지 않은 독자를 위해 비밀에 부쳐 두겠다.

 

 타인과의 소통은 서로의 상처와 고민을 공유했을 때 급진적으로 이루어진다. 상대방의 상처를 통해 자신의 상처와 마주하게 된다.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어느 덧 치유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상처는 아물기 마련이다. 시일이 오래 걸릴지라도 흉터가 좀 남을지라도 결국엔 새살이 차오른다. 책 속의 등장인물들 역시 이런 과정을 몸소 보여준다.  상처를 끌어안은 채 전전긍긍하는 대신 곪아버린 상처를 터트려 마침내 새 살이 돋을 길을 마련해준다. 혼자가 아닌 서로간의 교류와 소통을 통해서.

 

 『완득이』 『우아한 거짓말』 『가시고백』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경험해봄직한 핫한 이야기들을 쿨하게 풀어내는 작가 김려령. 그녀의 재치 있는 입담을 이 작품을 통해서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뭐, 풀어만해 재미있다는 이야기다. 청소년들이 읽는다면 ‘이게 바로 우리의 생활언어야’라고 감탄할 만한 대목도 수두룩하다. 놀라운 흡입력과 생동감의 실체이기도 한 이 문장들은 작품에 빠져들게 만드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청소년들의 고민과 문제를 오랜 시간 고민해온 작가의 관찰력과 직관력이 돋보이는 작품. 비단 청소년들만의 문제에 국한하지 않고 인간 사회 전반에 대한 화해를 시도하는 작품. 상처를 툭툭 건드리지만 마음을 톡톡 다독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