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후 네 시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남주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알고 있는 내가 과연 ‘나’인가
- 아멜리 노통브, 『오후 네 시』를 읽고
고문자(拷問者). 격동의 시절 암암리에 맹활약을 펼친 고문기술자를 지칭하는 말이 아니다. 여기서 고문자란 어떠한 이유로도 이해할 수 없는 이상 행동을 타인의 생활 반경 안에서 펼치는 사람을 말한다. 그로 인해 신경은 극도로 예민해지고 생활은 중심을 잃고 흔들리기 시작한다. 당신에게도 혹시 그런 고문자가 있는가? 전혀 다른 성향, 전혀 다른 성격, 전혀 이해 받지 못할 행동으로 평화로웠던 삶을 야금야금 갉아먹으려 드는 사람.
은퇴 후 시골에서의 한적한 삶을 꿈꾸어온 에밀과 쥘리에트 부부에게 첫 눈에 <우리집>이라고 단언할 만한 매력적인 집이 나타난다. 자그마한 시골마을, 눈에 보이는 집이라고는 의사가 살고 있다는 이웃집 한 채 뿐인 곳. 그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 여차해서 일이 생기면 바로 도움을 청할 거리에 의사가 살고 있다. 이런 곳이라면 생의 마지막 날까지 머무르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곳이 아닌가. 그러나 행복은 일장춘몽일 뿐. 오후 네 시, 문을 두드리는 소리와 함께 한 평생 꿈꾸어왔던 평화로운 삶은 수렁 속으로 빠져버리고 만다.
매일 오후 네 시만 되면 어김없이 문을 두드린다. 마치 자기 집인 양 들어와 안락의자에 몸을 묻은 채 두 시간동안 말없이 앉아 있다 돌아간다. 바로 유일한 이웃집에 산다는 의사 양반 팔라메드다. 먼저 말을 걸어오는 법이 없다. <그렇소>, <아니오>와 같은 긍정 혹은 부정의 대답만을 내뱉는다. 에밀이 굳게 마음을 먹고 <왜죠?>와 같은 구체적인 설명을 요하는 질문을 건네기라도 하면 경멸에 찬 눈빛으로 쳐다볼 뿐이다. 마치 자신에게 대단한 결례라도 저지른 것처럼 상대방을 무한하게 만들어버리는 놀라운 능력의 소유자. 그렇지만 정작 자신이 범하고 있는 말도 안 되는 상황은 결례가 아닌 것처럼 행동을 한다.
도대체 그는 왜 매일 일정한 시각에 방문을 하는 것일까. 물을 수도 없다. 문을 열어주지 않을 수도 없다. 그렇다고 내내 침묵으로만 일관할 수도 없다. 평생 ‘예의’로 중무장한 채 살아온 에밀은 이 침입자에게조차 예의를 다해야만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아무런 말이나 거의 혼자 떠들다시피 해야하는 절망적인 상황에 처해 있으면서도 말이다.
살아가다보면 본의 아니게 특수한 상황에 놓일 때가 있다. 지금껏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극한의 상황! 그럴 때가 되면 사람은 자신의 숨겨진 내면과 맞닥뜨리게 된다. 그로부터 겪게 되는 정체성의 혼란. 나라는 사람은 과연 어떤 인간인가 하는 난해한 질문에 봉착하기에 이른다. 아멜리 노통브의 『오후 네 시』는 바로 이런 이야기다. 어느 날 문득 자신의 또 다른 일면을 깨닫게 된 어느 평범한 노인의 치명적인 고통과 극단적인 선택.
어찌 보면 이야기는 단순하다. 매일 오후 네 시부터 여섯 시까지 이웃집 불청객과 보내는 시간 동안의 상황이 주요내용을 이룬다. 앞서 이야기했듯 <그렇소>, <아니오> 혹은 긴 침묵만이 이어지는 그 대화 말이다. 그런데 긴장감이 넘친다. 심지어 재미있기까지 하다. 서로의 심리를 교묘하게 파고드는 표정과 말투 행동이 심각한 상황과는 반대로 위트 있게 펼쳐진다. 다소 무거운 주제를 지루하지 않게 만드는 작가의 재주 덕분에 흥미롭게 책장을 넘기게 된다.
살아가는 동안 사람이 지켜내야 하는 예의란 것이 어느 선까지인지를 끊임없이 생각하게 만드는 소설. 막바지에 툭 하고 던져놓은 듯 마침내 드러나는 반전은 독자에게 궁극의 질문을 던진다. 내가 알고 있는 내가 과연 ‘나’인가 라는. 남들이 규정해 놓은 나를 진정한 ‘나’인양 착각하고 살아온 것은 아닐까. 세상의 속도전에 떠밀려 자신이 누구인지를 잊고 살아왔다면 한 번쯤 진지하게 돌아볼 기회를 마련해 봐도 좋을 것 같다. 철학적이면서도 익살스러운 이 소설을 기회삼아서 말이다.
그런데 팔라메드는 정말 그 같은 결론을 원했던 것일까. 그것은 그에게 구원인가, 처형인가! 책을 덮고 나서도 질문은 끝도 없이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