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화상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 봅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한 그 사나이가 가엾어 집니다.

                        도로가 들여다 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

 

 


    

  윤동주의 일생     

 

 1917∼1945년 시인, 본관은 파평(坡平). 아명은 해환(海煥). 북간도 명동촌(明東村) 출생. 아버지는 영석(尹永錫)이며, 어머니는 김룡(金龍)으로 기독교 장로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다.  아우 일주(一柱)와 당숙 영춘(永春)도 시인이다. 1931년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대랍자(大拉子) 중국인 관립학교를 거쳐 이듬해 가족이 용정(龍井)으로 이사하자 용정 은진중학교(恩眞中學校)에 입학하였다.  1935년 평양 숭실중학교로 학교를 옮겼으나, 이듬해 신사참배 문제가 발생하여 문을 닫자 다시 용정으로 돌아가 광명학원(光明學院) 중학부에 편입, 졸업하였다. 1941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였다. 이듬해 일본으로 건너가 릿쿄대학(立敎大學) 영문과에 입학하였고, 같은 해 가을에 도지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에 전학하였다.  1943년 7월 귀향 직전에 항일운동의 혐의를 받고 일경에 검거되어 2년형을 선고받고 광복을 앞둔 1945년 2월 28세의 젊은 나이로 일본의 후쿠오카형무소(福岡刑務所)에서 생을 마쳤다.  교우 관계는 연희전문학교 재학 중 함께 하숙 생활을 하였으며 그의 자필 시집을 보관, 출간한 정병욱(鄭炳昱), 초간 시집에 추모시를 쓴 유령(柳玲), 연희전문학교 후배 장덕순(張德順), 고향 후배 문익환(文益煥) 등이 있다.

처녀작은 15세 때 쓴 시 [삶과 죽음]· [초한대]이며, 이 두 편의 수준이 상당한 것으로 미루어 습작은 이미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발표된 작품을 살펴보면 광명중학교 4학년 당시 간도 연길(延吉)에서 나온 ≪가톨릭 소년(少年)≫에 동시 [병아리](1936.11.)· [빗자루](936.12.)· [오줌싸개지도](1937.1.)· [무얼 먹구사나](1937.3.)· [거짓부리](1937.10.) 등이 있다. 연희전문시절에는 ≪조선일보≫ 학생란에 발표한 산문 [달을 쏘다], 연희전문학교 교지 ≪문우 文友≫에 게재된 [자화상] [새로운 길], 그의 사후인 1946년 ≪경향신문≫에 발표된 시 [쉽게 쓰여진 시]등이 있다. 그리고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던 해인 1941년에 자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발간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자필로 3부를 남긴 것이 광복 후에 정병욱과 윤일주에 의하여 다른 유고와 함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정음사, 1948)라는 제목으로 간행되었다.  20세를 전후하여 10여 년간 전개된 그의 시력여정(詩歷旅程)은 청년기의 고독감과 정신적 방황, 조국을 잃음으로써 삶의 현장을 박탈당한 동일성의 상실이 그 원천을 이룬다. 초기 시에서는 암울한 분위기와 더불어 동시(童詩)에 깃들인 유년적 평화를 지향하고자 하는 현실 파악 태도를 볼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의 작품으로는 [겨울]· [조개껍질]· [버선본]· [햇빛·바람]등이 있다.  후기 시로 볼 수 있는 연희전문학교 재학 시절에 쓰여진 시들은 일제 말기의 암흑기를 살아간 역사 감각을 지닌 독특한 자아성찰의 시세계를 보여준다. [서시]· [자화상]· [또 다른 고향]· [별 헤는 밤]· [쉽게 쓰여진 시] 등이 이러한 경향을 보이고 있는 대표적 작품들이다. 윤동주의 시는 한마디로 어두운 시대를 살면서도 자신의 명령하는 바에 따라 순수하게 살아가고자 하는 내면의 의지를 노래하였다. 자신의 개인적 체험을 역사적 국면의 경험으로 확장함으로써 한 시대의 삶과 의식을 노래하였다. 동시에 특정한 사회·문화적 상황 속에서 체험한 것을 인간의 항구적 문제들에 관련지음으로써 보편적인 공감대에 도달하였다. 유해는 고향 용정에 묻혔고, 1968년 연세대학교 교정에 그의 시비가 세워졌다.     - 출처: 네이버지식백과에서-

 

 

  중학교 시절 처음 윤동주님 시집과 그의 일대기를 읽고 얼마나 흠모했던지...

      이 다음에 윤동주와 같은 남자를 만나리라... 시를 좋아하고, 조국을 사랑하며, 하늘과 바람과 별을 좋아했던, 무척이나 영혼이 맑았던 그 분과 같은 사람을.... '눈오는 밤 지도' 를 읽으며 겨울밤을 그의 순이를 함께 생각했고,  '별헤는 밤'을 외우며 그의 어머니를 조국을 함께 그리워했다. 그가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이름모를 주사를 맞아가는  대목을 읽을때 나는 분노로 진저리를 치며, 저절로 두 주먹을 불끈지고 말았다.  하지만 언제나 하늘을 우러러 보아야만 마음의 눈으로만, 볼 수있던 그 분...  그렇게 그리움만 깊어간 채 세월이 흘렀고.... 나는 한 남편의 아내, 세 아이의 엄마가 되었다. ㅠㅠ

이제,  그 분의 탄생 94주년을 맞이하는 즈음에 지난 그 분의 사진을 다시 올려다본다.

그 깊고 맑은 눈을 다시 마음에 담아본다.  

 

 

 윤동주님 관련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