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티 마을 큰돌이네 집 작은도서관 1
이금이 지음, 양상용 그림 / 푸른책들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티마을 큰돌이네 집은 동화작가 이금이 선생님의 대표작으로 밤티마을에 대한 작가님의 애정은 ’밤티마을 금이네 집’ 이라고 부르고 있는 그 분의 개인 블로그 이름만 봐도 알 수있을 정도다.

<밤티마을 큰돌이네 집>. <밤티마을 영미네집>, <밤티마을 봄이네집>으로 불리는 밤티마을 시리즈는 예전부터 무척 읽고 싶은 책들이었으나 기회가 되지 않아 이제서야 읽게 되었는데, 괜찮은 책일거라고 생각한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역시 이금이 선생님이야!’ 라는 생각을 하게 하는 작품이었고, 2학년에 올라간 막내에게 동화를 밤마다 조금씩 읽어주면서 나도 읽게 된 책이라 더욱 감회가 깊다.

밤티마을에 가면 봄마다 허물어진 담장 너머로 노란 개나리 꽃이 활짝 피어 있는 집이 있는데, 바로 큰돌이네 집이다.
큰돌이의 이름은 ’오대석’이지만 선생님만 그렇게 부르시고 반아이들은 모두 큰돌이라고 부른다. 아빠는 목수이시고, 동생 영미와 할아버지와 함께 살고 있는 큰돌이는 엄마가 계시지 않는다.  어른들의 말씀에 의하면 아빠가 날마다 술을 먹어서 도망갔다고 하시기도 하고, 엄마가 도망을 갔기 때문에 아버지가 술을 마시는 거라는 분도 계시다.  원래 도시에 살았던 큰돌이와 영미는 할머니가 돌아가시는 바람에 할아버지를 모시고 살기 위해 밤티마을로 이사를 온 것이다.  이런 가정환경에 처해있는 큰돌이는 비록 차비로 아이스크림을 사먹어버리고, 학교에서 집까지 걸어오기도 잘하고,  준비물 살 돈으로 군것질을 하기도 하는 아이이지만 영미가 아빠에 대해 좋지 않은 말을 하면 아빠는 그런 분이 아니라고 변호하기도 하고, 동생 영미에게는 누구보다도 잘 대해주는 속이 깊은 아이이다.  비록 가난하고 힘든 환경이고, 아빠의 술주정으로 인해 힘든 날들도 많지만 동생 영미와는 좋은 오누이사이였다.
하지만 이런 큰돌이네에 변화가 온 것은 어려운 큰돌이 살림을 아는 이웃 쑥골할머니가 영미를 어느 부잣집에 양녀로 보내면서 부터이다.  아무것도 모르는 영미는 처음에는 집나간 엄마의 집에 간 줄 알다가 자기가 데려온 딸이라는 것을 유치원에서 듣고는 집을 그리워하고, 큰돌이는 큰돌이대로 영미를 보고싶어하는데, 큰돌이네 집에도 변화가 생겨 새엄마가 들어온 것이다. 큰돌이에 의해 팥쥐엄마라고 불리는 그 새엄마가 점점 좋아지고, 새엄마는 영미에 의해 하나씩 집이 좋게 바뀌어가고, 영미도 다시 데려오게 된다는 이야기다.


엄마없는 큰돌이 남매의 불행한 이야기가 새로 맞이한 새엄마에 의해 따뜻한 가족의 모습으로 바뀌어가는 동화내용을 읽으며, 마음이 훈훈해졌다. 흔히 우리 나라 옛이야기 등에 등장하는 '새엄마는 나쁜 사람이다' 란 편견을 없애주면서 아이들에게 주변에 있는 분들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의 가지게 하고,  가족 한사람 한사람이 참으로 소중한 존재임을 깨닫게 하기에 충분한  마음의 '옹달샘' 처럼 맑은 울림이 있는 이야기를 써주신 이금이 작가님께 감사드리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