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의 계보학 -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만든 서사들 메두사의 시선 4
실라 미요시 야거 지음, 조고은 옮김, 정희진 시리즈기획.감수 / 나무연필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셔널리즘과 젠더로 한 국가의 정체성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살펴보는 관점이 신선했으나 무리수로 보이는 부분도 있다. 한국의 정체성은 결국 과거의 나약한 남성성을 극복하고 강한 남성(아버지-아들)으로 이어지는 가족/국가 이데올로기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이 한계. 새 패러다임이 가능할까?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오 2024-01-18 07: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와의 결혼은 가능합니다.

잠자냥 2024-01-18 08:40   좋아요 1 | URL
아니 그거야 말로 이 나라에선 불가능해 ㅋㅋㅋㅋㅋㅋ

은오 2024-01-18 09:14   좋아요 1 | URL
아........

잠자냥 2024-01-18 09:37   좋아요 1 | URL
이 나라 꼬라지 보면 2093년에도 안 될 거 같은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냉동한 상태로 유럽으로 날 옮겨. 아니다 대만이 가깝겠군 ㅋㅋㅋㅋ

은오 2024-01-18 12:04   좋아요 1 | URL
망명신청을 해야겠어요
사유: 사랑하는데 국가가 결혼 못하게함ㅠ

잠자냥 2024-01-18 12:12   좋아요 1 | URL
망명까지;;; 너 혼자 가....ㅋㅋㅋㅋㅋㅋㅋ

은오 2024-01-18 12:57   좋아요 1 | URL
ㅠㅠ

시에나 2024-05-06 1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책 백자평 달려다가, 잠자냥님 글 보니까 반갑네요! 아, 저는 이 책에서 학생운동과 주체론의 로맨스에서... 학생운동하신 분들은 이 해석이 새로운 걸까, 아니면 반복되는 걸까...? 궁금해지더라고요. 학생운동과 주체론 전혀 몰라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