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력전하의 앎과 제도 1933∼1955년 1 근대 일본의 문화사 7
사카이 나오키 외 지음, 이종호 외 옮김 / 소명출판 / 2014년 2월
평점 :
절판


근대 일본의 문화사 시리즈 중 7번째인 <<총력전 하의 앎과 제도>>는 이른바 총력전 체제에 관한 연구 논문을 모은 것이다. 총력전체제에 대해서는 이미 지나간 연구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최근 다시 관심을 모으고 있는 푸코의 통치성 연구와 유사한 점이 있기 때문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주목되는 이 책의 글은 <총력전체제와 지식인>이며 이 글에서 정리한 총력전체제에 대한 정의를 아래 정리해둔다.


"'총력전체제'론 이란 전시 전후에 대한 전통적인 자기양해에 정면에서 이의를 제기하는 것이다. 전시의 총력전체제는 단순히 억업과 강제를 가하는 권력만이 아니었고, 오히려 다양한 사회조직에 전시변혁을 가함으로써 사람들의 생활과정에 개입하고 그것을 조직하려는 권력이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사람들의 자발성 또는 주체성을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를 위해 육성하고 동원하려고 한 권력이었다. 또한 이러한 사회적 재편성을 위해 육성하고 동원하려고 한 권력이었다."(201)


여기서 총력전체제는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적 주체성을 육성 동원하는 권력이라고 하고 있지만 동일한 시기의 또 다른 연구 논문인 <테크놀로지의 지배, 지배의 테크놀로지>에서 당시 지배테크놀로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지배테크놀로지는 근대 초기에 통계학 등 여타의 방식을 배치함으로써 주권의 영역을 통합하려 했던 유럽의 관방학파 경제학자의 시도에 대한 언급에서부터, 근대 관료제와 공장 조립라인의 훈육 기술을 거쳐, '주체성의 테크놀로지'에 의해 자기통치하는 능동적인 시민주체를 구축하고 하는 노력에 이르기까지 매우 넓은 스펙트럼에 걸쳐 있다."(196)


푸코의 논의를 가져 온 것이지만 총력전 하의 앎과 제도를 지배의 테크놀로지로 보고 있는 점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총력전체제는 단순히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적 주체 뿐만 아니라 능동적인 시민주체와도 연결되는 것이며 이 때문에 일본의 전후사회에도 연속되는 것으로 파악가능한 것이다. 일제시기 총력전체제를 통치성과 연결할 수 있는 실마리는 갖춰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