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를 통해 본 전통과 근대, 식민지와 국가 문화동역학 라이브러리 3
정병욱.이타가키 류타 엮음 / 소명출판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최근 푸코의 책<<안전, 영토, 인구>>(난장, 2012)을 읽어서일까? <<일기를 통해 본 전통과 근대, 식민지와 국가>>(소명출판, 2013)는 일기 등 에고도큐멘트가 이른바 권력에 의한 근대적 개인의 탄생과 '품행' 지도는 물론이고 도리어 그에 대항하는 '대항품행'의 형성까지 생성시키는 이중적인 것임을 잘 드러내준다. 일단 이 책은 서구 역사학에서 최근 들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에고도큐멘트에 관한 입문서라고 할 수 있다. 에고도큐멘트는 '자기증언'이라는 실천적 행위의 글들을 수집하여 연구하는 것을 가리키며, 자기증언의 자료란 일기를 비롯한 자서전(소설 포함), 편지 등 개인이 쓴 모든 것들을 의미한다. 그간 역사 연구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이용되던 지극히 일반적인 인물들의 개인적인 기록물들이 이른바 민중사로부터 시작된 아래(밑)으로부터의 역사 및 미시사의 영향아래 새로운 역사적 방법론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에 따르면 일기는 근대 이전에도 쓰여지긴 했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사적이지 않은 공공성을 지냈다. 예를 들어 남자가 일기를 썼고 이를 가족이 모두 열람하는 등 전혀 사적이지 않았다. 반면 근대에는 프라이버시 탄생과 함께 일기는 숨겨야하는 지극히 사적인 것을 표방하며 대중적으로 폭넓게 쓰여지기 시작했다. 물론 부모와 선생을 통한 국가권력의 검열을 당하면서도 말이다. 그렇기에 근대의 일기는 사적이면서도 근대 이전과 다른 의미에서 공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서구의 연구에서 근대적 개인(근대적 주체)의 탄생과 일기쓰기가 연결되어 있음을 지적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기는 근대적 개인의 주체성을 인도하고 지도하는 장치로 사용이 되었다고 해서 단순히 자아성찰이나 개인의 일상을 기록한 것일 뿐만 아니라 사회의 집단기억을 드러내주는 창이기도 하다. 따라서 에고도큐멘트라는 지위를 획득하며 일기쓰기와 일기의 내용은 주체를 형성하는 측면에서 지극히 개인적이면서도 사회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일기와 같은 자기증언은 그러한 국가권력이 인도하고 지도하는 품행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그와 반대로 그에 대한 대항품행의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는 것이 이 책의 개별 연구에서 지적하고 있어 흥미롭다. 예를 들어 니시카와 유코의 <근대에 일기를 쓴다는 것의 의미>에서는 국민교육장치로써의 일기와 그로부터의 일탈의 예를 동시에 제기하는데 후자의 예가 나카이 히데오의 반전일기와 전쟁 직전 농민들을 봉기시켜 자치공동체를 만들고자 했던 여성 아나키즘 운동가인 야기 아키코의 일기이다. 둘다 국가권력에 의한 품행의 내면화된 신체로부터 일탈된 모습을 일기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한편, 김무용의 <한국전쟁 시기 민간인 학살 유족의 자서전 분석>에서는 일기는 아니지만 민간인 학살 유가족의 그간 생활과 달리 자서전 쓰기가 국가에 충성하는 근대적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문제삼아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국가권력에 대항하는 대항품행을 형성하였다는 실례를 그/그녀들의 자서전 분석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학살 이후 권력에 의해 강요된 삶(반공투사)을 자선전 쓰기라는 행위를 통해 새로운 정체성 형성과 대항품행의 장을 열고 있음은 주목할만 하다. 이처럼 이 책은 일기와 같은 자기증언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부각시켜 밑으로부터의 역사를 통해 권력과 개인과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읽고 고민할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