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싯다르타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8
헤르만 헤세 지음, 박병덕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헤르만 헤세의 책. <데미안>은 읽지 않았지만 <수레바퀴 아래서>는 읽었다. 독일의 유명 작가인 헤르만 헤세 .. 와 싯다르타. 작가와 제목간의 부조화라고 해야하나. 여튼 첫 느낌이 그랬다.
유복한 브라만(책에서는 바라문) 가정에서 태어난 싯다르타는 자아로부터 벗어나는 수행을 하고자 친구 고빈다와 집을 떠난다. 명상을 통해 고통과 굶주림과 피로와 권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지만 결국엔 다시 자아로 되돌아오고야 마는 경험을 반복하게 된다. 그래서 명상을 하는 것이나 술 또는 잠에 취해 고통을 잊고 둔감해지는 것이나 별반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말이야, 바람에 나부껴 공중에서 이리저리 빙빙 돌며 흩날리다가 나풀거리며 땅에 떨어지는 나뭇잎 같은 존재야. 그러나 얼마 안 되는 숫자이긴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하늘에 있는 별 같은 존재로서, 고정불변의 궤도를 따라서 걸으며, 어떤 바람도 그들에게 다다르지는 못하지. 그들은 자기 자신의 내면에 그들 나름의 법칙과 궤도를 지니고 있지."(108)
싯다르타와 고빈다는 우연히 고타마를 만나 그의 설법을 듣게 된다. 싯다르타는 세상의 이치를 인과응보의 관계로 설명하는 고타마의 가르침에서 세상의 영원한 순환 작용을 깨닫는다. 하지만 곧 아무리 각성자라 할지라도 깨달음의 순간에 체험한 것을 말이나 가르침을 통하여 전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결국 고빈다는 고타마의 곁에 남아 수행을 계속 하지만, 싯다르타는 삶의 희노애락을 직접 체험해보기 위해 길을 떠난다. 카말라라는 여인과 사랑에 빠지기도 하고 장사를 통해 돈을 벌기도 하고 도박을 해 재산을 탕진하기도 했다. 탐욕에 심취해 살았던 지난날의 부끄러움 때문에 강에 빠져 죽고싶다는 충동까지 느끼게 되지만 흘러가는 강을 보며 깨달음을 얻는다.
"그 때문에 자기는 세상 속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었으며, 쾌락과 권력에, 여자와 돈에 빠져들 수밖에 없었으며, 장사꾼, 주사위 노름꾼, 술꾼, 탐욕스런 자가 될 수밖에 없었으며, 그러다가 결국 자기의 내면에 있던 사제 의식과 사문 의식이 죽어 없어지는 지경에까지 이르고 말았다. 그 때문에 자기는 계속하여 그 가증스런 세월을 견뎌나갈 수밖에 없었으며, 그 구토증을, 그 공허감을, 황량하고 길을 잃고 타락한 인생의 그 무의미함을 견뎌낼 수밖에 없었으며, 그러다가 마침내는 그러한 사람의 종말에 이르게 되었으며, 쓰디쓴 절망감에 빠지게 되었으며, 탕아 싯다르타, 탐욕자 싯다르타도 죽을 수가 있었던 것이다. 그런 싯다르타는 죽고 없었으며, 새로운 싯다르타가 잠에서 깨어나 있었다."(146)
"강은 웃고 있었다. 그렇다, 그런 것이다. 끝장을 볼 때까지 고통을 겪지 않아 해결이 안 된 일체의 것은 다시 되돌아오는 법이며, 똑같은 고통들을 언제나 되풀이하여 겪게 되어 있는 법이다."(192)
"고빈다, 이 세계는 불완전한 것도 아니며, 완성을 향하여 서서히 나아가는 도중에 있는 것도 아니네. 그럼, 아니고말고, 이 세계는 매순간순간 완성된 상태에 있으며, 온갖 죄업은 이미 그 자체 내에 자비를 지니고 있으며, 작은 어린애들은 모두 자기 내면에 이미 백발의 노인을 지니고 있으며, 젖먹이도 자기 내면에 죽음을 지니고 있으며, 죽어가는 사람도 모두 자기 내면에 영원한 생명을 지니고 있지. 아무도 다른 사람에 대하여 그 사람이 스스로의 인생 행로에서 얼마만큼 나아간 경지에 있는가를 감히 이러쿵저러쿵 말할 수는 없네. 도둑과 주사위 노름꾼의 내면에 부처가 깃들여 있고, 바라문의 내면에 도둑이 도사리고 있으니 말이야.."(208)
책 마지막장 표지에 적혀있는 글.
"지식은 가르칠 수 있지만 진리는 가르쳐질 수 없다는 것. 이 깨달음을 나는 일생에 꼭 한번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했다. 그 시도가 바로 싯다르타이다." 책을 읽기 전에 봤을 땐 몰랐는데 읽고나서 다시 보니 작가의 의도가 느껴졌다.
읽는 동안에는 불교에 대해 백지에 가까울 정도로 아는 바가 거의 없다는 사실에 놀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