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쎈연필 > 알라딘이 경제를 망친다?

 

 

 

 

 

* 아침에 샤워하다가 이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물론 픽션이구요, 이걸로 인해 상처받으시는 분이 제발 없으시기를! (탄핵 가결로 전 이미 상처받았습니다만)

------------------------------------------

서민씨(가명. 3x세)는 직장에 출근하면 컴퓨터를 켜고 맨먼저 알라딘에 접속한다 (최근에는 아예 초기화면으로 깔았다). 전날 자신이 올린 글에 어떤 코멘트가 달렸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그 코멘트들에 답글을 달고나면 남들이 쓴 글에 코멘트를 달러다닐 차례, 24시간 내에 작성된 글들을 클릭하며 코멘트를 달다보니 한시간여가 훌쩍 지나간다. 시상이 떠올라 글이라도 한편 쓰고나면 또다시 몇십분이 흐르고, 그 글에 누가 코멘트를 다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신의 서재를 수없이 왔다갔다한다. 서민씨가 그날 오전에 한 건 논문 두줄이 전부. 서씨의 말이다. "남들이 제 글에 코멘트를 썼는데, 제가 답글을 안달면 예의가 아니잖아요. 그래서 자꾸 가게 되는 것 같아요"
실제로 서민 씨는 1분 간격으로 코멘트와 답글이 이어지는, 소위 '실시간 코멘트'를 경험하기도 했다. 다음은 서씨의 서재에서 발췌한 코멘트 내용이다.

앤티슈: 우아, 서민님. 허접한 글 잘읽었어요 (AM 10:43)
서민: 헤헤, 제 글이 허접한 거 어떻게 아셨어요? (AM 10: 43)
앤티슈: 하하, 보면 몰라요? 전체적으로 허접하잖아요. (AM 10: 44)
진/우밥: 내가 봐도 허접하구만! (AM 10: 45)
서민: 어, 진우밥님, 안녕하세요? 글쿠나. 허접하구나 (AM 10: 45)

이런 실시간 코멘트는 다른 서재에서도 흔히 발견된다는 게 서씨의 말이다. 서씨가 직장에서 알라딘에 접속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다섯시간. 너무 많지 않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서씨는 이렇게 말한다. "저도 줄여야 한다는 생각은 드는데, 막상 접속을 하고나면 빠져나갈 수가 없어요"

최고인기 서재를 보유하고 있는 블라시보(가명)님의 서재에는 하루평균 100개의 코멘트가 달리는데, 거기에 일일이 답을 하면 두시간이 훌쩍 가버린다. 블라시보님의 말이다. "가끔은 힘들 때가 있지만, 인기란 어쨌든 좋은 거 아니겠어요?" 진우밥, 검은빗, 갈채, 순이나라(이상 가명) 등 인기서재의 주인공들은 "알라딘 때문에 일에 전념할 수가 없다"고 입을 모은다. 알라딘 폐인으로 진단되어 현재 격리치료중인 연분홍빛우주님의 고백이다. "공부를 하려 했는데 알라딘 초기화면이 눈에 어른거려 집중이 안됐다.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 '알튀세르' '알레고리'처럼 '알'자가 눈에 들어오면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었다"

연분홍빛우주님처럼 알라딘 폐인으로 진단되어 고통을 겪고있는 사람은 줄잡아 500여명, 경제활동 인구 전체로 보아 얼마 안되는 숫자 같지만, '생산력 있는 상위 5%가 총생산의 95%를 차지한다'는 파레토의 법칙을 감안한다면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막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실제로 작년 12월 알라딘 서재에 마이페이퍼 기능이 추가되면서부터 급격한 생산성 위축이 관찰되고 있는데, 전문가들은 "알라딘 폐인의 숫자가 두배로 늘어난다면 연간 GDP 성장률이 1% 정도 하락할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반면 인터넷교보 측은 알라딘이 경제위기의 주범으로 몰리자 희색이 만면. 익명을 요구한 최병렬 인터넷교보 대표는 "알라딘 서재를 따라서 북로그를 만들었는데, 호응이 없어 괴로웠다"면서 "일이 이렇게 되니 인기가 없는 게 오히려 잘된 일 같다. 인생은 새옹지마라는 게 실감이 난다"고 말했다. <참회연대>와 <경질련>등 시민단체들은 "경제위기의 주범 알라딘은 서재를 당장 폐쇄하라!"며 서소문 앞에서 밤늦게까지 시위를 벌였고, '알라딘을 사랑하는 모임(대표: 자몽상자님)' 회원 20여명은 '서재사수'를 외치며 농성 중이다.

전문가들은 "경제위기의 원인을 서재 하나로 돌리는 것은 무리"라며 알라딘의 손을 들어줬지만, "지나친 접속으로 인해 폐인이 되는 것은 개인적, 국가적 손실이니 적당히 접속하는 게 좋다"고 뼈있는 한마디를 던졌다.

부록: 혹시 나도 알라딘 폐인?
국제 알라딘협회에서는 알라딘 폐인의 진단기준을 발표했는데, 이중 세가지 이상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진단된다.

-하루 4시간 이상 알라딘에 가있다.
-글을 하루라도 안쓰면 못견딘다.
-코멘트가 달렸을까봐 글을 올린 지 10분 이내에 다시 가본다.
-'알'자만 봐도 흥분한다.
-친구, 친지보다 다른 알라디너가 더 좋다.
-알라 신으로 개종했다.

(정리=마태우스 기자)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4-03-13 00: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진/우맘 2004-03-13 0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이 글을 퍼담으면서 신밧드님이 지었을 표정이 궁금하군요. 즐거운 표정? 뿌듯한 표정? 책임을 통감하는 애통한 표정? ^^

마태우스 2004-03-13 0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께서 퍼가주시니 영광이옵니다^^

가을산 2004-03-13 09: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글을 읽고 오랜만에 교보북에 갔었습니다.
거기서 여기로 이사온지 9개월이 지났는데 아직도 '우수회원'으로 뜨네요.
개편으로 인해 오히려 낯설고 산만해진 '마이룸'도, 등록해 놓았던 즐겨찾는 분야가 다 지워진 서재의 기능도, 내가 소장한 책, 사고싶은 책 두개 밖에 없는 보관함도, 그리고 서재인 간의 교류가 쉽지 않게 되어 있는 시스템도... 기획자의 관점의 차이가 이런 한계를 만드는 것이 아닐까 생각되었습니다. (실은 이정도가 알라딘 개편 전까지만 해도 저자신이 그렇게 바라던 수준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참 사람 마음이 간사하지요. ^^ )
어쨌든... 소비자의 기대를 한발 앞서 충족해주는 알라딘에 감사합니다.

배바위 2004-03-13 1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글을 읽으면서 어떤 표정을 지었느냐 하면.. 혼자 푸하하하 웃으면서 한편으론 가슴이 좀 찡하기도 하고 그랬습니다. 저에게는 감동이었습니다. 사람이 가장 행복할 때는 나, 특히 `우리`로 인하여 타인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을 때 아니겠습니까. 아직도 많이 모자라는 서비스를 긍정적이고 너그러운 마음으로 아껴주시는 님들께 오히려 제가 마음으로 감사드려요.

박가분아저씨 2004-03-17 04: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
'알라딘'이 경제를 망치듯 날 망칠 수도 있다는 사실에 잠시 섬찟했습니다.
그러나 저같은 사람은 워낙 느긋하고 여유있어서 님께서 알라딘 폐인의 부류에 속하는 사람을 적어 놓은 글이 재미는 있었지만 도저희 그렇게 까지야...하는 마음 이었답니다.
그러나 살아가며 더러는 들르고....페이퍼나 리뷰도 올리고 싶은 맘이 드는 것이 님께서 얘기하며 내심(?)으론 혹 바라실 조짐이나 아닌지..어허 이거 쯥쯔ㅉ...

. 2004-04-05 1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하...이거 이제 봤는데 참 재미있네요...^^

하루(春) 2004-12-28 0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재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