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제국의 도시생활 - 황제부터 노비까지, 화려한 제국 시대의 모든 것
천바오량 지음, 이화승 옮김 / 글항아리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시의 사교에서 허세를 추구하는 병폐는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관료나 사대부 사회에서는 일상적으로 명첩을 전하는 예가 있었다. 명첩은 지금의 명함처럼 "주인에게 통성명을 전해서 미리 자신을 소개하는 것"이란 의미였다. - P2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명제국의 도시생활 - 황제부터 노비까지, 화려한 제국 시대의 모든 것
천바오량 지음, 이화승 옮김 / 글항아리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교양서를 표방하는 책인 것 같은데 번역을 학술서 번역하듯이 했다. 한자를 잘 아는 사람이 아니라면 내용을 이해할 수 없다. 전체적으로 설명이 심각하게 부족하다. 호응이 맞지 않는 문장이 많고 가독성이 대단히 낮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 『금병매』 6회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서문경은 반금련의 수놓은 신발에 술을 부어 마신다. 여기서 말하는 "신발에 술을 부어 마시는 것"은 당시 사대부 사이에서 상당히 유행하던 ‘기혜행주‘를 말한다. 이러한 행위가 저속하고 더럽다고 여길지 모르지만 명대에는 조금 변태적이지만 한편으로 고상하다고 여겼다.
궁궐의 식생활이 비밀에 싸여 있다고 하면, 명나라 도시의 벼슬아치나 재력가들의 식생활은 노골적으로 쾌락을 추구했다. 풍성하고 다채로웠다는 말로는 부족하며 연회를 열 때마다 사치가 극에 달할 정도로 탐욕스러웠고 기혜행주처럼 방종한 행위로 세속 예법의 구속을 받지 않믄 반면, 한편으로 소박하고 청아함을 추구하는 이중성을 보였다. - P1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씨 성을 쓰는 이 신입 경정은 서둘러 공을 세우고 싶은 마음에 또다시 폭력배 소탕 작전을 펼쳤다. 레드 드래건에는 금지 물품도 마약도, 미성년 여성도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경찰은 매달 한 번씩 월례행사처럼 일제 단속을 벌였다.
쩡상원은 이런 경찰을 혐오했다. 그들이 악행을 증오하고 악인을 원수 보듯 하는 이유는 단 하나, 승진을 위해서였다. - P394

나이가 서른몇 살이 되어서야, 그는 삶의 도리를 하나 깨우쳤다. 사람을 무시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언제 내가 무시했던 그 사람처럼 될지는 영원히 알 수 없으니까. - P420

후회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잘못된 결정을 내려 잘못을 저지른 것에 대한 후회, 다른 하나는 잘못을 저지른 것에 대한 후회가 아니라, 잘못을 저지르고 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다. - P435

한 명의 장군이 전쟁터에서 세운 공은 만 명의 병사가 비참하게 죽은 결과다. 감옥에서 자주 들은 말이다. 건달이라면 누구나 극히 드문 그 한 명의 장군이 되겠다는 희망을 품지만, 누구도 예외 없이 만 명의 병사가 되고 만다. - P4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족이라는 게 뭐지? 혈연관계? 법적인 관계? 한 지붕 아래 사는 사람? 다 정확하지 않은 답이라는 걸 깨달았어. - P299

먹고 입고 사는 것 중 어느하나 비싸지 않은 게 없는 홍콩에서 성인 한 사람이 살아남는다는 건 결코 쉽지 않은 일이었다. 집세만 해도 벌써 수입의 절반을 갉아먹을 정도이니, 열다섯 살 난 소년이 스스로 먹고살아야 했다면, 더 말할 것도 없다. - P321

약육강식의 논리가 지배하는 거리에서는 늑대처럼 사는 개만이 생존할 수 있는 법이다. - P322

DNA 감식이 유전자에 숨어 있는 수많은 이야기를 찾아준다는 건 틀림없는 사실이다. 같은 유전자를 가진 가족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고, 심지어는 밖으로 드러나서는 안 될 과거를 들춰낼 수도 있다. - P355

세상 사람들이 진실을 밝히는 데 집착하는 이유는, 진실이 밝혀지면 얽매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착각하기 때문이다.(중략)
진실을 찾아낸 사람들은 모두 그 진실이 자신에게 더없는 고통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한다. - P3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